초록 열기/닫기 버튼

르네 데카르트 René Descartes는 인식의 주체와 인식의 대상물인 객체를 이원론적으로 구분하고, 주체의 관점에서 객체를 이해하는, 주체중심적 인식론을 정립했다. 이러한 주체우월적인 관점은 서구 근대의 전형적인 고찰방법이었고, 수많은 학문 영역에서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의 주체중심적인 사고의 틀을 깨뜨리고, 수천 년 동안 관심의 대상에서 벗어나 사유의 주변부로 밀려나 있던 타자의 음성을 변호한다(신승환 2008, 25 참조). 이를 통해서 주체는 더 이상 유일한 객관적 진리의 생산자로 간주되지 못하고, 중심부의 주체는 주변부로, 주변부의 타자는 중심부로 이동하는 ‘주체의 탈중심화’가 이루어진다.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형이상학적 주체는 세계의 중심도, 그것의 근원도 아니며, 오히려 사회적 관계와 언어적 구조를 통해서 생겨나는 산물에 불과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형이상학적 인간의 해체를 의미하는 ‘주체의 죽음’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한 모토가 된다.


Die Wissenschaftswelt tendiert dazu, die Neue Kultur des 21. Jahrhunderts, die nach der postmodernen Kultur global aufkommt, als die Post-Postmoderne zu bezeichnen. Parallel dazu verfolge ich einen Plan, die post-postmoderne Kultur in anthropologischer Hinsicht zu interpretieren und die damit korrespondierenden Kultur- und Literaturphänomene unserer Zeit zu erforschen, um eine Richtung der post-postmodernen Kunsttheorie und Kunstmethodologie präsentieren zu können. Als Basisforschung für die Konkretisierung meines eben erwähnten wissenschaftlichen Vorhabens wird zunächst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auf den Wandlungsprozess, in dem das Kultursubjekt des 20. Jahrhunderts vom Menschentyp der Moderne zum Menschentyp der Postmoderne überging, einzugehen und dessen literaturgeschichtlichen Schritte vor allem in Anlehnung an Lacans Theorie des Begehrens zu beschreib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