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현장에서는 브레히트극의 이중의 어려움을 감안, 크게 두 가지 방향의 해결책을 모색해온 걸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서사극의 개념 전달에 치중하는 등 지나치게 브레히트를 의식해 결국 ‘어색한 흉내 내기’가 되어버리거나, 아니면 브레히트 극의 함의를 예술적 재창조의 원천으로 삼아 텍스트 재현을 넘어 새로운 맥락을 창출하는 예술적 접점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자는 우선 수용의 목적이자 존재 의미인 관객에게 부정적인 경험을 간직한 채 브레히트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후자에서는 모든 고전의 현대적 해석에서 그렇듯이 일부 전문가 그룹을 제외하고는 브레히트 자체와 관객의 만남이 차단된다. 때문에 그 어느 쪽도 이상적인 브레히트 수용과는 거리가 있다. 다시금 관객들이 어색해서 발길을 돌리지 않고, 브레히트 드라마의 교훈과 재미를 담은 연극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좋은 방법에 대한 갈증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것은 드라마 텍스트와 번역과 공연의 상관관계를 생각할 때 결국 ‘우리의 리듬과 신명을 가진 브레히트 연극 경험’을 위한 적절한 드라마 번역의 가능성 또는 번역자의 역할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여기서는 크게 드라마 수용에서 번역이 갖는 다양한 함의를 살펴보고, 한 드라마의 성공적인 수용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번역 전략적 요소를 드라마 번역의 독특성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또 번역 텍스트가 상연성과 문화적 맥락화라는 번역기능에 의해 어떻게 구조적으로 변경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이를 위해 브레히트 연극 수용과 번역, 드라마 텍스트 번역의 요소, 특히 상연성과 드라마 번역전략,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에 대한 이원양의 번역 텍스트와 이윤택의 재구성 텍스트 비교 분석을 차례대로 진행한다. 이런 비교 분석의 목적은 두 텍스트와 원본을 비교해 번역충실도를 측정하려는데 있는 건 아니다. 그 보다는 드라마 텍스트의 매체변환적 독특성을 고려해 보다 효율적인 수용을 위한 번역전략을 고민해보고, 무대현장과 번역가의 협력 작업의 중요성을 한 번 더 환기시키는 것이다.


Im Laufe der Zeit zeigen sich Unterschiede bei der Aufnahme von Brecht in Korea. In der Anfangsphase hat sich das koreanische Publikum für Aufführungen Brechts begeistert. Aber hat es bald sie fremd und zu intellektuell gefunden und sich davon distanziert. Dazu gab es noch das Übersetzungs- und Aufführungsproblem der mangelenden interkulturellen Transferleistung. In diesem Zusammenhang untersucht diese Arbeit gattungsspezifische Unterschiede, Probleme und Übetsetzungsstrategien in der Übersetzung von Dramen am Beispiel des Dramas Brechts Mutter Courage. Es handelt sich dabei um die Überlegung zum interkulturell adaptierenden Übersetzungsverfahren. Zum einen erfährt eine interkulturelle Übermittlung von Stücken immer eine grundsätzliche Veränderung. Zum anderen sind Dramen nicht nur Texte, die gelesen werden. Sondern sie werden auch in jeweils konkreten Inszenierungen dargestellt und erlebt. Beim Übersetzen müssen also die Aufführbarkeit des Textes auf der Bühne und dazu die Kommunikationsmöglichkeit zwischen der Bühne und dem Publikum berücksichtigt werden. Daraus ergibt sich, dass bei der Dramenübersetzung eines adaptierende Übersetzungsverfahren unabdingbar ist. In diesem Zusammenhang handelt es sich bei der koreanischen Adaption von Brechts Mutter Courage nicht um eine Übersetzung für das Lesen, sondern um die aufführbare Übersetzung. In der koreanischen Adaption von LEE Yoon Taek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 - Eine Chronik aus dem Koreakrieg wird die Handlung von Brechts Mutter Courage in den dreijährigen Koreakrieg (1950-1953) verlegt. Er strukturiert also durch Textveränderungsstrategien wie z. B. Ausscheidung, Verstärkung, Rekontextualisierung und Tiefenstrukturierung den Originaltext kulturspezifisch um. Damit konnte Brechts Mutter Courage im Koreanischen Theater ohne komplexes Verständnis von kultureller Differenz aufgeführt werden, ohne dabei die Nachricht des Originaltextes nicht zu verlie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