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과병원에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중독자 2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둘째, 우울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족지지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인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를 모두 포함한 경로모형이 유의하였고, 모형에 포함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가족요인들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재활에서 우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치료적 기제로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함의로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is factors in male alcoholics. The sample consisted of 215 inpatient alcoholic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function mediated th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in male alcoholics. Second, de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nfluential factors that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ing the path model is significant and all path of path model i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les of the depression and family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in alcoholics, and that the intervention of depression is needed and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could be utilized as therapeutic mechanisms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lcoholism.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ways of improving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for alcoho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