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살자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농촌지역 노인의 자살에 주목하고배우자 자살 이후 남겨진 배우자의 상실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배우자 자살 이후 7~20개월 시점의 연구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고그 내용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촌지역의 노년기 자살자 배우자들은 일반적인 사별로 인한 상실경험뿐 아니라 자살이라는 사회적 낙인이 뒤따르는 죽음으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상당히 복잡하고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지켜야 할 체면과 자식 걱정 때문에속마음을 겉으로 내색하지 않고 의연하게 행동하려 하며, 외부 도움에 대해서 주저하는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자살자 배우자라고 해서 모두 같은 경험을 하는 것은 아니며 삶의 맥락에서 자살이 주는 의미와 지지체계 등 상황적 요인에 따라 이후의 삶은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노년기 자살자 배우자의 진술을 ‘자기 폐쇄형’, ‘자연 고립형’, ‘일상 적응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이들의 각 특징적인 상실경험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bereaved families’ experiences of loss after the spouses’ suicides. Suicides of elderly in rural areas occupy a high rate of suicides in Korea. Conducting intensive interviews with 14 participants 7~20 months after spouses’ suicides, the conten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the results, the spouses of elderly suicides in rural areas went through not only the experience of loss caused by separation of death, but also by relatively more complex and painful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suicides. Because of their social standing in community and their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most of the survivors were pretending to cope with the situation ‘via a mask of wellness’, hesitant to seek external help. However, not every bereaved spouse of suicides had the same experience, and their lives were affected variously with conditional factors like support system and significance of suicides in respective lives. Classifying the spouses of elderly suicides into self-isolated type, naturally-isolated type, and daily-life adapting type, differentiated strategies are necessary to approach the survivor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