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많은 기업들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기업은 구매 및 판매 과정의 투명화와 간소화로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전자상거래 도입을 확산시키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가 기업의 생산성 및 비용절감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전자상거래 투자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효율적인 e-비즈니스 투자 효과 분석을 위한 객관적 분석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기업의 전자상거래 투자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전자상거래 투자 효과를 계량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자상거래를 통한 생산성 증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유형별로 보면 인터넷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 (e-Buying) 보다는 판매 (e-Selling)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는 그 유형이나 용도에 관계없이 재고자산회전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자상거래가 기업 공급망의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Despite the rapid adoption of e-commerce by Korean firms,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studies analyzing the impacts of e-commerce on firm productivity and efficiency. Utilizing data on Korean listed firms, this paper quantitative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commerce on firm efficiency.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firms buying and selling products or services on-line experienced about 20% higher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rowth than firms not engaged in e-commerce. In particula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ductivity enhancing effects mostly came from e-selling rather than from e-buying. It is also found that e-commerce itself brought little changes in inventory turnovers, which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e-commerce on the supply-chain efficiency of Korean firms have been 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