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년의 기업결합규제정책 집행은 합병계획의 허용 여부에 대한 이분법적 판단에서 벗어나서 조건부로 허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합병규제의 성과는 경쟁제한성의 심사뿐 아니라 유효한 구제조치를 마련하는 데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미국과 EU에서는 합병규제에서의 구제조치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ㆍ이론적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정책당국들도 관련 고시나 지침을 통해 구제조치의 합리적ㆍ체계적인 설계 및 집행에 관심을 쏟고 있다. 본 논문은 합병 구제조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성과와 우리나라 기업결합규제 관련 심결들을 검토함으로써 효과적인 구제조치 정책의 수립ㆍ집행을 위한 개선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합병규제 자체가 본질적으로 구조규제라는 점에서 교정수단 역시 구조적 조치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행태적 규제는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각조치를 우선적 수단으로 고려하되 그에 내재하는 문제들을 완화하고 이행의 실효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차제에 구제조치에 관한 명시적인 지침의 마련도 요망된다.


Merger control has recently been transformed from a yes-or-no dichotomy toward a sort of fine-tuning regulation. Many of potentially anticompetitive merger transactions are now conditionally cleared through various remedial commitments. Successful merger control depends on the design of effective remedies as well as correct evaluation of competitive effects. With a purpose to obtain some useful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a desirable remedies policy, we first review empi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on merger remedies, and then critically investigate all the relevant, previous decisions of the government competition agency of Korea. As an essentially structural policy, the merger control prefers structural remedies to non-structural or behavioral ones, which we can resort to on a complementary basis. More specifically, divestiture should be the first choice for the merger remedies, but only with a clear understanding about what its inherent difficulties are and how its performance in enforcement can be enhanced. And some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enforcement of merger remedies are urgently wa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