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고속 인터넷이 발달하고, 이동전화나 태블릿과 같은 개인형 이동단말기가 보편화에 됨에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이용하는 O2O 서비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O2O는 주로참신한 아이디어나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한 중소형 기업이 관련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가대부분이다. 하지만 O2O가 새로운 사업 형태로 각광을 받자 아마존,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과 같은 대규모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도 O2O 사업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교차 네트워크효과가 특성인 양면사업모델이 적용되는 O2O 사업에서 대규모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는 이용자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이들의 O2O 시장 진출은 기존에 사업을 행하고 있는 중소형O2O 플랫폼 사업자들을 대체하거나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유인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플랫폼 사업자의 O2O 시장 진출로 중소형 O2O 플랫폼 사업자와의 공존이 가능하며, 진출 억제가 이용자 후생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이론적 모형을 통해 살펴본다.


Recently, online to offline business model which connects online users to offline merchants are prevalent with universal usage of individual mobile smart handsets such as smartphone and tablet. Uber taxi, KaKao Taxi, Amazon Homeservice are the well-known examples. Most O2O services are initially launched by the startups whose business models are based on creative ideas or innovations. But as O2O becomes profitable business model, large-sized online platform enterprises such as Google, Amazon, Naver, Kakao also enter the O2O industries. Since they may compete horizontally with incumbent startups in the identical market, their entry into the O2O industry could raise the concerns that such entry may make the incumbent startups less competitive or even make them exit from the marke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ssue of whether the entry of large-sized online platforms into the O2O industry can be compatible with the concept of coevolution of the large-sized online platforms and the startups. To this end, we review the concept of co-evolution, identify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O2O, and develop the economic model. The main result is that regulating the entry of large-sized online platform enterprises into the O2O industry harms the welfare of the O2O platform users. Thus entry regulation is not desirable in the O2O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