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07년 일본 안동 영사관에서 서간도의 집안 지역을 조사 한 내용 중에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것을 소개한 것이다. 안동 영사관에서 작성한 보고서는 관할 지역을 조사한 일반적인 동향 보고서인데, 그 안에 집안현 고구려 유적과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내용이 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인물은 1907년에 안동 일본영사관에 소속된 통역생 미우라 미노루(三浦稔)이다. 미우라는 압록강 연변을 거쳐 집안과 통화 일대를 조사한 뒤 상세한 조사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 보고서인 복명서에 고구려 유적과 광개토대왕비 관련 자료들이 있다. 이 복명서에는 조사지역의 사진과 고구려 역사 개설이 있으며, 그 중에 광개토대왕비와 장군총의 사진이 첨부된 것이 특징이다. 복명서는 오늘날 조사 스타일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해당지역의 역사와 문화, 지도와 사진 등을 보고 양식에 맞추어 작성하여 사료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 본고는 미우라의 복명서에 수록된 광개토대왕비 및 장군총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내용의 진위를 판단한 뒤에 그 역사적 가치를 논하고자 하였다. 필자가 이 자료를 학계에 소개하게 된 것은 미우라의 복명서에 삽입된 광개토대왕비의 사진이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회자되는 샤반느의 것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샤반느의 것보다 앞서거나 동일한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파악되기까지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자료상의 내용을 비교하여 광개토대왕비 관련 사진 자료의 시기를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미우라의 보고서에는 광개토대왕비문이 필사되어 있으며 집안현을 배경으로 한 고구려의 역사도 설명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광개토대왕비 자료는 물론 미우라 보고서가 지니는 역사적 가치와 내용을 분석하려고 했다.


This was written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es when I have found reports data from Japan. This data was described by Consulate of Japan in Andong of 1907. The consulate staff interpreter was described this data. And now it was belongs to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s one facilit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iplomatic Archives, opened in April 15, 1971. Referring to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eiji first year since, in addition to collection, categorization, and save an exhaustive record of all of the province, and an emphasis on offic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compilation, publication of written materials. In 1936 Since then, the publication was organized and compiled the major document Japan diplomatic documents from the holdings record, and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and dissemination of diplomatic knowledge. Therefore this data is known to the public a long time ago already. Nevertheless, it is not introduced in Korea, the reason is not investigated all of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ven a Japan researchers, do not know about this data. Anyway, it will b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f Photo of the Gwanggaeto monument and research reports of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particularly, this data faster then the data of already known about the Gwanggaeto monument. Finally, I hope to use this Report data forward to many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