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신라 景德王代 普賢行願信仰과 毘盧遮那佛造成을 살핀 것이다. ≪화엄경≫을 살펴보면, 普賢行願은 성내지 않는 마음가짐에서 출발하여, 지난날의 業障을 참회하고, 부처님을 禮敬하고 공양하면서, 중생구제의 발원과 실천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닦아 이루는 成佛은 毘盧遮那佛이다. 나아가 이 보현행원신앙은 보살행의 마음을 낸 중생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실천하는 것으로 自力信仰이다. 신라에서 의상으로부터 시작된 普賢行願思想은 제자에 의해 成佛論으로 발전하였다. 그 결과 경덕왕대에는 普賢行願을 닦아 비로자나불로의 成佛을 염원하는 신앙으로 꽃을 피우게 되었다. 연기법사의 주도로 화엄사에서 이룬 白紙墨書華嚴經과 두온애랑의 발원으로 조성되어 석남사 관음암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이 바로 그 예이다. 나아가 보현행원은 하대에 들어와서도 널리 유행되었다. 이는 하대에 비로자나불이 많이 조성되고, 보현행원사상을 발원하는 것에서 미루어 알 수 있다. 이처럼 신라에서는 보현행원신앙이 경덕왕대에 꽃을 피우고, 하대에 滿開하였다. 이것은 신라불교신앙의 흐름에서 볼 때, 경덕왕대가 淨土信仰이 절정을 이루며 쇠퇴하는 시기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현행원신앙으로 바뀌는 전환기였음을 알려 준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reation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Faith(普賢行願信仰) and Vairocana-Buddha(毘盧遮那佛) during the rule of King Kyongdok(景德王) in Silla. In Avatamsaka Sutra, it is said that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start with a mindset not prone to getting mad and involve reflecting upon the karma of the past, venerating and making offerings to Buddha, and implementing the source and practice of saving the world. When one cultivates and achieves them, he or she attains the Buddhahood of Vairocana-Buddha. Furthermore, this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Faith is a faith based on one’s own efforts practiced by people that have taken on a journey as a bodhi sattva and become the subjects themselves. Originating in Uisang(義湘) in Silla, the ideology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developed into a Buddhahood theory by his pupil. As a result, it blossomed into a faith to wish for the Buddhahood of Vairocana- Buddha by cultivating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during the reign of King Kyongdok. One example is that the Priest Yeonki(緣起) achieved the Baekjimukseo Avatamsaka Sutra(白紙墨書華嚴經) at Hwaeom Temple(華嚴寺) and Duonaerang(豆溫愛郞) enshrined the Vairocana-Buddha at Gwaneumam(觀音庵) of Seoknam Temple(石南寺). Entering the Late Period(下代) of Silla,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enjoyed widespread popularity,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active formation of Vairocana-Buddha and the source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ideology during the period. As the findings indicate,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blossomed during the rule of King Kyongdok and were in full bloom during the Late Period of Silla. Given the flow of Buddhist faith in Silla, it suggests that the reign of King Kyongdok witnessed the zenith and decline of Pure Land Faith(淨土信仰) and also marked a transition toward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Fa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