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 시 25%경구 포도당과 인공젖꼭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부분적 무작위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132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6시간 이후 B형 간염예방접종을 근육 내 주사하여 비약물적 통증조절 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번호가 담긴 성별에 따라 구분된 상자를 통해 무작위 추첨으로 각 실험군을 정하였고, 주사 투여 2분 전에 증류수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25% 경구 포도당을 먹인 군(포도당처치군), 주사 투여 전 2분 동안 인공젖꼭지만 물린 군(인공젖꼭지 처치군) 및 25% 경구 포도당을 인공젖꼭지에 묻혀 물린 군(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군에서 접종 전, 접종 시, 회복 시의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산모와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은 4개의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포도당 처치군에서 NIPS 점수상접종 시(6.4±0.9 vs. 5.5±1.7, P=0.01)와 회복 시(1.6±2.0 vs. 0.6±0.9, P=0.01), NFCS 점수상 회복 시(1.5±2.3 vs. 0.7±0.8,P=0.04)에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통증평가 점수상 통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NIPS점수≥4점, NFCS점수≥3점)의 숫자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9명(23.1%) vs. 0명(0%), P=0.04 via NIPS, 7명(17.9%) vs. 0명(0%),P=0.02 via NFCS). 반면 모든 군 사이 PIPP 점수 혹은 중등도 혹은 심한 통증 PIPP 점수 대상수(PIPP점수≥7점)의 비교에서는통계상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공젖꼭지처치군에서 오히려 NIPS와 NFCS 점수가 각각 회복 시 통계상유의하게 증가하였고(1.6±2.0 vs. 2.7±2.6, P=0.003 via NIPS,1.5±2.3 vs. 2.9±2.6, P=0.023 via NFCS), 포도당+인공젖꼭지처치군에서는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25% 경구 포도당을 이용한 통증조절은 효과가 있어 보이나 인공젖꼭지 혹은 25% 포도당을 묻힌 인공젖꼭지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저자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생아의 비약물적 통증조절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oral 25% dextrose treatment or/and pacifier for analgesia in healthy newborns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a hepatitis B vaccine.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partially blinded, clinical trial was performed in 132 healthy newborn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4 treatment groups: control group (2 mL distilled water), dextrose group (2 mL 25% dextrose), pacifier group, dextrose+pacifier group (pacifier coating with 25% dextrose)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hepatitis B vaccine. For all groups,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the injection, during the injection, and at 2 minutes after the injection. Pain scores were compared among the 4 groups. Results: Maternal and neonat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among the 4 groups. 25% dextrose treatment led to lower NIPS pain scores during injection (6.4±0.9 vs. 5.5±1.7, P=0.01) and after injection (1.6±2.0 vs. 0.6±0.9, P=0.01) and NFCS pain scores after injection (1.5±2.3 vs. 0.7±0.8, P=0.04) tha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eonates who feel the pain (indication of scores: NIPS≥4,NFCS≥3) decreased (9 (23.1%) vs. 0 (0%), P=0.04 via NIPS, 7 (17.9%) vs. 0 (0%), P=0.02 via NFCS). However, all treatment groups did not decreased PIPP scor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ral 25% dextrose is effective than distilled water or using pacifier with or without 25% dextrose in reducing pain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hepatitis B vaccinations. Further study based on this preliminary study need about nonpharmacologic management of pain in newbo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