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태변 연관 장폐색증은 기계적 장폐색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질환 중 하나인데, 진단과 치료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유용하다고 하나 아직까지 명백한 진료지침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변 연관 장폐색증을 보인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임상적 특징을 태변 연관장폐색증을 보이지 않은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와 비교하였으며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의 효과 및 합병증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중 복부 방사선검사 상 소장팽창 혹은 장폐색의 소견을 보이며 출생 후 48시간까지 태변배출의 지연, 복부팽만, 장음증가, 영양관에서 유의한 잔유량의 증가 등 장폐색증의 임상증상 중 한가지 이상을 보이며 직장 관류에도 임상증상과 방사선학적 검사 소견에서 호전되지 않는 경우 태변 연관 장폐색증을 진단하였으며, 총 15명의 환아에서 진단과 치료로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복부 초음파검사 유도 하에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하였으며 형광투시법은 시행하지 않았다. 환아의 임상적 특징, 복부 방사선검사 소견, 장관영양 진행 상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의 효과와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고, 이들의 임상소견은 연구기간 동안 태변 연관 장폐색증이 동반되지 않은 대조군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48명과 비교하였다. 결과: 태변 연관 장폐색증 환아군은 대조군에 비해 1분 Apgar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산모에서 중증 자간전증이 동반된 경우, 출생 7일 이내 패혈증을 진단받은 경우 태변 연관 장폐색증 발생이 유의하게 높아 태변연관 장페색증을 유발 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기관지폐이형성증이 진단된 환아에서 태변연관 장폐색증을 동반한 경우가 많았으나(P<0.05) 기관지폐이형성증과의 연관성은 진단시기에서 차이가 있고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에 기관지폐이형성증과 태변 연관 장폐색증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 후 태변 배출 시기와 금식기간은 태변 연관 장폐색증 환아들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환아들에서 첫 번째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시기는 생후 평균 5일이었고, 관장은 총 15명의 환아에서 24회 시행하였으며, 1례에서는 Gastrograffin, 14례에서는 Telebrix를 조영제로 사용하였다. 15명 환아 중 7례에서는 1회, 또 다른 7례에서는 2회, 나머지 1례에서는 3회의 관장을 시행하였으며, 재 관장을 시행한 주요 원인은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가 돌막창자 말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농축된 태변으로 인한 소장팽만이 해결되지 않고 태변 연관 장폐색증의 증상이 지속되어 8례에서재 관장이 시행되었다. 총 15명의 환아 중 14례(약 93%)에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1-2차례 시행하여장폐색증 증상 및 복부 방사선검사상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장관영양을 시작하고 모두 생존하여 퇴원이가능하였다. 그러나 1례에서는 생후 6, 11, 18일 총 3차례의 관장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영제가 돌막창자말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장폐색증 증상도 호전되지 않아 장관 영양을 시행하지 못하였으며, 조영제 관장에따른 장 천공 및 탈수 등의 합병증 발생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동반된 뇌실내 출혈의 악화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생후 45일째 사망하였다.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15례 모두에서 조영제 관장으로 인한 장 천공, 전격결장염, 전격결장괴사 발생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관장 후 혈압, 심 박동수, 혈청 전해질 이상 소견 등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의 태변 연관 장폐색증에서 출생 후 조기에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복부 초음파검사 유도하에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할 경우, 빠른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며, 합병증 발생 없이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생각되며, 장폐색증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원활한 장관영양 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향후 초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사망률 및 유병률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Meconium-related ileus (MRI)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owel obstruction in extremely low-birth weight newborn infants (ELBWI).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HWSC) enemas been recogniz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M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linical findings of MRI accompanied by ELBWI and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HWSC enemas. Methods: A total of 15 ELBWI with MRI were treated with HWSC enemas under the guidance of ultrasonography at the bedside in the NICU between 2008 and 2011. Clinical findings of 15 pati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48 ELBWI without MRI administered to NICU during the same period. Radiological findings, therapeu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HWSC enemas in patients with MRI were also reviewed. Results: Patients with MRI, compared to those without MRI, showed the following significantly lower Apgar score at 1 minute, higher incidence of preeclampsia,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sepsis, and longer duration of the first meconium passing and non-feeding per oral. Fourteen patients with MRI had resolved bowel obstruction successfully following 1-2 trials of enema. One case was not relieved following 3 trials of enema, showed no clinical improvement, and died of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multi-organ failure at 45 days old.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WSC enemas were observed in all case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HWSC enemas under the guidance of abdomen ultrasonography in the NICU is safe and efficacious for the rapid diagnosis and treatment of MRI even accompanied by ELB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