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전 및 쓰나미 피해 지역인 스리랑카 동부 바하라이 지역에서 식량안보 개선 및 가정의 삶의 재건에서 친환경 농업 방식의 효과성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바하라이 지역에 2013년 3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한국정부 지원으로 600가정에 친환경 채소재배가 가능하도록 필요한 친환경 농업 기술 훈련 및 필요한 기자재를 지원했고 농가에 농업 및 식수 공급을 위한 우물시설을 지원했다. 친환경 농업 요소로 무경운, 자연재료멀칭, 토착 미생물, 유기질 퇴비, 재래종자 등 5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 지표로 친환경 농산물 확보 여부, 규칙적인 하루 식사횟수, 섭식 다양성 (4가지 이상의 식품군 섭취 여부), 작물별 단위생산성, 재배를 위한 투입 비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사업 지역 내 비수혜농가를 포함해서 총 193가구를 무작위 표본추출하여 가구별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핵심정보원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사업의 주요 결과로 친환경 농산물 확보 여부, 일일 섭식, 채소 단위 생산성, 노동생산성, 토질 비옥도 및 물 접근성 등에서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농업의 형태가 가난한 소농들에게 지속적으로 식량안보를 확보하고 소득증대의 기회를 주기 위한 효율적 수단임이 드러났다. 따라서 국제농업개발 지원 사업에서 특히 빈곤 감소를 위한 노력으로 친환경 농업의 접근 방법이 좀 더 깊이 있게 정책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ew natural farming method in Eastern Sri Lanka, Vaharai area. Five natural farming factors such as non-tilllage, mulching with natural materials, indigenous microbes, compost and indigenous seeds were efficiently intervened to 600 target households from March 2013 to June 2015. The indicators used for research were the number of meal per day, food diversity, the unit productivity and input cost for home garden farming.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by 195 HH survey, 5 FGD and 11 KII in June 2015.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accessibility of natural agricultural product was improved from 20% to 90%. The regular three time meal per day was raised from 74% to 97%, and the rate of people that intake more than 4 food groups per day was improved from 42.3% to 71.05%. The unit productivity of Okra, Eggplant, Pepper, Bean, Bitter Melon, and Drumstick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79.7%, 69.8%, 34.1%, 52.4%, 68.8%, 52.4% respectively. Farming input cost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65% in intervention group and in comparing to non-intervention group it was less than by 87.4%. Regarding the labor input for farming and soil fertility, 73% and 95% of intervention group appeared positive result. And soil erosion issue was mitigated by 91%. The accessibility for irrigation water was improved from 20.50% to 44.97%. In conclusion, new natural farming can contribute efficiently to enhance income opportunity and sustainable food security for impoverished farmers. Thus, it could be considered as a medium of poverty reducing policy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