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럽연합의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란 해외에서의 분쟁사태로 난민이 발생하거나 범죄가 만연할 경우에 유럽연합의 안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유럽의 군과 경찰 및법집행 기관의 인력을 분쟁지역에 보내서 법의 지배를 강화하는 일종의 국제평화활동이다. 유엔의 국제평화활동과 다른 점은 유엔은 평화의 관점이 가장 중요하지만 유럽연합은 안보의 관점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이다. 위기관리의 상위정책은 공동안보방위정책(CSDP)이며, 그보다 더 상위의 정책은 공동외교안보정책(CFSP)이라는 점에서 안보의 관점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처음 출발은 방위(defence) 중심의 정책이었으나 1992년 페테스베르크 임무에서 평화 개념이 추가되었고 2003년 유럽안보전략(2003) 이후에는 안보(security)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유엔의 국제평화활동이 1990년대 이후 군 중심의 평화유지모델에서 경찰, 민간 중심의 다차원 평화건설모델로 넘어가면서 개발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면, 유럽연합은 안보⋅방위 개념으로 시작하였고 후에 평화의 개념과 개발의 개념이 추가되면서 유엔의 국제평화활동의 모습과 상호 접근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MDGs)가2015년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 넘어가면서 평화와 안보 개념이 16번째 신규 목표로 추가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즉, 평화와 안보를 어느 정도 확보한 현대에는 개발의 개념이 부각되어 상호 융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유럽연합이 위기관리를 발전시켜온 과정을 리스본조약 등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유럽연합이 군 문제는 나토에 묶여 있고 국제평화활동은 유엔의 주도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민간 중심의 미션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군 미션이라할지라도 민간 미션 성격을 띠고 있는 경우도 있다. 유럽연합 민간위기관리 36개 미션(완료 19, 진행 17) 중에서 舊 유고 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션 사례 2건을 살펴보면서 평화와 안보, 그리고 개발의 역학관계를 검토하였다. 위기관리는 유럽연합이 하나의 국가로서의 역할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라면 안보의 이익이평화의 관점을 압도하게 되며 개발도 같이 안보의 논리에 패키지로 묶여 따라가게 되어 있다. 안보 정책이 중심인데 그 포장은 국제평화활동이다 보니 유럽연합의 활동이국경 주변을 벗어나 전 세계를 담당하게 되어 지나치게 외연이 확장되는 결과를 낳게되었다. 또한 안보 정책 안에서도 유럽연합의 방어(defence)를 위해 출발한 정책이었으나 평화라는 이름으로 지나치게 외연이 확장되다보니 유럽연합의 국경선 방어 개념은 사실상 희박하게 되었다. 한편, 군대보다 더욱 치밀하고 디테일한 것으로 여겨지는민간 위기관리를 통해 평화를 추구하는 것은 회원국 확대라는 명분으로 자칫 ‘新제국주의(new expansionism)’라는 비난을 받을 소지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위기관리정책에서 평화라는 개념을 배제함으로써 위기관리 정책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리스본 조약 제43조 1항에 명시된 공동외교안보정책의 임무 중평화라는 용어는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European Union has operated its own international peace missions called ‘crisis management’ since 2003. The term of “crisis management” which is divided into military part and civilian part is used by the EU and NATO particularly. The reason behind using the term “crisis management” is that security threat towards the Middle East or Africa may lead to threat towards the EU and NATO, and thus international peacekeeping activities must be deployed in order to manage existing threats and possible crises. The EU’s crisis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on the Common Security Defence Policy(CSDP) and CSDP’s superordinate concept i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CFSP). The history of the EU crisis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in parallel with the integration of the EU. The EU’s crisis management activities are little by little expanding its independent practices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 and NATO. The EU is gradually searching ways to develop its own individuality in the fields of the crisis management. Due to such circumstances, there are considerably more civilian missions than military missions, and even the military miss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NATO, are related with the police works virtually. Meanwhile, the framework of civil crisis management shows that EU’s planning capability and expertise is higher than the UN’s. The UN’s peace operations focus on the view of the peace but the EU’s crisis management lays stress on the issue of the security although both of them have three aspects of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EU had added the concept of the peace to its defence policy under the Petersberg Task in 1992. The European Security Strategy 2003 changed the defence-based policy into security-oriented policy and then included the issue of development in ESDP. At that time, the mission of the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ESDP), which was changed by CSDP after Lisbon Treaty in 2009, has launched at the Bosnia-Herzegovina. The EU finished the nineteen CSDP missions and is operating the seventeen missions. This thesis reviewed the crisis management of EUPM BiH and EULEX Kosovo. These civil crisis missions are more detailed and professional than the UN missions and inconsistent with the benefit of the security of the EU. However, they may contain the danger of sovereignty intervention by the name of the peace with the view of the conflict parties. Moreover, CSDP may expand the outer boundaries of the EU too easily under the flag of peace. Police and the law enforcement agencies have influences of the denser and more detailed sovereignty intervention than military components on the conflict parties. They should be dispatched abroad much carefully. This point might be guided into the debate about ‘the new expansionism’ in the future. Therefore, the EU should be demarcated the territory of the crisis management more explicitly by excluding the concept of the peace. It will be helpful for the EU to conduct its own security and development activities. So, the researcher recommends the EU to exclude the term of peace from the Article 43 of the Lisbon Trea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