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라블레의 연작소설 중 하나인 가르강튀아를 대상으로 서술분사구문(敍述分詞構文)들의 담화상의 기능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리는 서술 분사 구문들을 해당 구문이 주절에 대해 갖는 상대적 독자성에 따라 부가(附加)형과 분립(分立)형으로 나누는 것으로 분석을 시작하였다. 서술 분사 구문들을 부가형/ 분립형의 두 부류로 나누는 주요 기준들은 이들 구문의 담화상의 기능, 주절에 대한 상대적 위치, 병치 구문들의 문장내 기능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먼저, 부가형 서술 분사 구문들이 일반적으로 주절 동사의 뒤에 놓여 그 보어 역할을 수행한다면, 분립형 서술 분사 구문들은 문장 부사들처럼 주로 주절의 왼쪽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부가형 서술 분사 구문들과 등위접속된 구문들은 보통 주절 동사의 사행(事行)에 통합되게되나, 분립형 서술 분사 구문들에 연결된 표현들은 대체적으로 접속사가 이끄는 종속절들로 주절의 사행에서 독립되있다. 끝으로, 담화상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부가형 서술 분사 구문들은 주절 사행의 행위주의 태도나 상태를 기술해주는 양태 보어의 기능을 갖고 있다. 반면에, 분립형 서술 분사 구문들은 그들의 문장내 위치에 따라 네가지 별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문두에 올 경우 담화상의 연결 도구로서 두 개의 이야기 흐름을 연결해주게 되는데 이때 앞 문장의 사행을 반복할 경우 재취(再取) 기능에 해당하고 반복없이 앞 단락의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행동을 촉발할 경우 연쇄(連鎖)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다수의 분립형 구문들은 문두에 위치하면서도 앞의 이야기 흐름과는 무관하게 주절 사행에 논리적· 시간적 지표를 제시해주는 지문(指文)의 기능을 갖는다. 끝으로, 주절의 오른편에 놓이면 분립형 구문들은 주절 사행의 주제에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보족(補足)의 역할에 해당된다. 우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라블레는 재취 기능과 연쇄 기능의 분립형 분사 구문들을 주로 구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