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맞벌이 가족과 자녀양육 여성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장일과 자녀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전반의 환경변화와 관련제도의 효율적 실행이 요구되고 있다. 부모가 직장생활과 자녀양육을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이 법률적, 제도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관련 제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고 있다. 이는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부족과 기업의 비용부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자녀양육여성근로자들의 경력단절 및 고용불안 등에 의해서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자녀양육근로자의 고충실태와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시와 기업, 지역사회가 함께 나아갈 방향과 지원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규모가 작은 영세사업체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충을 비중 있게 다루어 정책사각지대에 있는 자녀양육 여성근로자에 대한 정책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직장일과 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조직문화의 개선 및 서비스 제공, 자녀양육에 필요한 제도의 효율적 시행, 자녀양육 여성근로자들을 고충해소를 위한 다각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양육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성평등한 직장문화조성과 자녀양육여성근로자의 역량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에 두고 다음의 세 가지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일·가족양립사회 문화조성과 정책사각지대의 해소와 둘째, 돌봄지원을 위한 다각도의 정책지원 마련 또 셋째, 자녀양육여성근로자의 고충해소를 위한 제반정책 및 서비스 확대이다.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은 사회전반에 걸친 삶의 질 향상과 성평등을 지향하는 정책기반이 마련될 때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및 지방정부의 적극적 정책개입과 민간협력유도 또 지역사회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With recent increase of working parents and working moms (female workers who raise children), it is more increasingly required to efficiently implement policies in relation to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to support work and family life balance. Even though the environment to manage balanced work life and child raising is partly provid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for parents,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system is not yet sufficient. The major reasons for this would be lack of family-friendly working place culture, cost burden of employers, career discontinuity of working moms who account for high proportion of non-regular employees and their job insecurity.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working parents in Seoul and their policy demands and has the purpose of seeking support policies and directions to move forward together with the City, enterprises and the communities. This study particularly deals with difficulties of small sized businesses and their non-regular employees to find measures for support policies on working moms in blind areas of the support policies.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targeting working moms show that there are needs for improvement of organization culture for work-family life balanc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olicies required for child raising, and multi-dimensional supports to solve difficulties of working moms. Through fact-finding research on working parents and expert interviews, this study drew out the following 3 directions for policies with the objectives of creation of gender-equal work culture, empowering of working moms and their life quality improvement.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o create work-family life balanced culture and should address the issues of blind areas of policies. Second, multi-dimensional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support child care. Third, Expansion of related policies and services to solve difficulties of working moms is required. Work-family life balance can be possible with establishment of the policy infrastructures directing gender equality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the overal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ctive policy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elicitation of cooper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and cooperation at community level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