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현재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봉사 활동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의 차원에서 인성 및 가치 형성의 조건들을 구체화하였고, 그에 근거하여 대학 사회봉사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향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사회봉사 교육에 요구되는 요소들을 크게 사유, 실천 그리고 감성으로 규정하고, 이 중에서 나눔에 관한 사유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①윤리 원리, ②사회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이해, ③제대로 된 나눔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보았을 때 오늘날 국내의 대학에서 시행되는 사회봉사과목은 무엇보다도 나눔에 관한 사유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칫 나눔 활동이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필자는 현행 학생들에게 활동만을 요구하고, pass/fail로 학점을 받는 사회봉사과목을 변경하여 사유와 실천, 그리고 감성을 두루 함양할 수 있는 나눔 수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한 학기에 적어도 한 번은 교수자가 학생들과 함께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교수자를 통한 나눔 교육의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way to improve the community volunteer activity currently held at the universities in the country. First, conditions for forming personality and values are embodi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Given this, the current condition and issue of the university community volunteer activity and the way to improve it are critically discussed. The authors define thinking, practice and sensibility as the required elements for educating students for the community volunteer work, and demand that a great effort is needed to identify ethical principles, social structural problems and a proper way of sharing in order to foster students' ability to think about sharing. The community volunteer program held at the universities does not help students forster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and so the possibility of the volunteer activity getting into a undesired way cannot be ruled out. Hence, the authors insist that the current program that demands only students' physical involvement in the volunteer work, encouraged by crediting them with pass or fail, should be changed to a class of sharing that can nurture thinking, practice and sensibility among students. They also claim that the educator who teaches the class should engage in the volunteer work together with students, at least, once a semester to promotes educational effect of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