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로연계복지정책이 탈빈곤 정책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로, 최근 노동부의 사회적기업이 근로연계복지정책으로 새롭게 대두되면서 보건복지부 자활사업으로부터 시작된 근로연계복지정책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근로연계복지정책의 본격적 시행으로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현상이 외형적으로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내용적 측면에 관한 여성주의 진영의 비판은 여전하다. 다시 말해,다양한 경로를 통해 창출된 사회적기업 참여자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여성일자리로 간주된다. 여성일자리로서 사회적기업은 여성빈곤의 외형적 감소라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취약한비시장 노동영역에 빈곤여성들이 재투입됨으로써 전통적인 성별분업 및 여성노동의 질적 저하를 강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은 여성주의 비판에 일부 동의하나, 이로 인해 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정책 방향이 여성참여자가 많은 사회서비스 제공형 일자리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또 다른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문에서는 주로 사회적기업 참여 여성들의 경험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 참여 후 ‘공익성’을 포함한 새로운 ‘일’의 의미를 참여 여성들이 내재화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여성대상 근로연계복지정책 성과의 일부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노동부의 최근 사회적기업의 수익성(자립성) 지향식 정책 방향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요구된다.


Since 2000 when welfare to work polices started being implemented as anti-poverty policies, the social enterprises recently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Labor have risen as the new welfare related policies. This initiative, which started as a self-help industry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being introduced as the ultimate aim for this policy. The 'feminization of poverty' phenomenon, which was intensified after the IMF crisis,by the end of 1997, was rather diminished in appearance after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 to work policy. Nevertheless, feminists are still critical as to its content.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of the various social enterprises are women, transforming this field as another stereotyped place for women. Despite its achievement in improving female poverty, the social enterprise is still heavily criticized for maintaining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the decrease of quality of women labor by having under-privileged women re-implemented in the weak non-market labor field. The current study partially agrees with this feminist criticism, but bears in mind that if the social enterprise policy of the Ministry of Labor rejects the fact that this social service policy actually provides diverse job opportunities to women, we might yet encounter another issue.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based upon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the women participating in the social enterprises and shows that these women have developed within them new meanings of 'public interest' and 'work' after their participation. Such result is to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achievement of the welfare to work policies towards women. This paper calls for a general review on the direction that the recent social enterprise policy has set in terms of profitability (self-re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