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기도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근로자 고용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용요인과 사회적기업 활성화의 관계를 사회적기업 내 고용의사결정권자의 인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고용요인으로 근로자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 가능함을 확인하고, 근로자요인은 소통요인과 근로요인을, 경제적요인은 기업요인을, 환경적요인은 정책요인과 사회요인을 선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결과 경제적요인의 경우 하위요인인 기업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결과 다른 요인과 달리 기업요인은 사회적기업 활성화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결과 고용요인 전체는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기업요인의 경우는 다른 요인과 달리 사회적 기업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일반적으로 낮을 것이라고 예상된 소통요인과 근로요인의 경우는 우려가 크지 않았다. 또한 근로요인보다는 소통요인이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고용결정권자들은 근로자의 다른 요인 대부분에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기업요인에 대하여는 그 자체 즉 기업의 생산성이나 안전성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사회적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셋째,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된 정책요인과 사회요인 즉, 정부정책의 필요성과 사회적 관용, 인식변화 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는 모든 분석결과가 긍정적이어서 요인과 관련된 여러 정책의 필요성과는 별도로 현재 다문화가족 근로자를 고용할 경우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test through the awareness of employment by those who make the decision on employment in social enterpri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employment factors which can have the influence in employing work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enterprise to revitalize.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social enterprises in Gyeonggi province. The preceding research verifies that as for employme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mployment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orkers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classified. For workers factors, communication factor and labor factor; for economic factors, enterprise factor; for environmental factors, policy factor and social factor are selected. The analytic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tic outcome on technological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as for economic factors, enterprise factor divided into sub-factors, reaches a low level compared with any other factors. Second, the analytic outcome on relations analysis indicates that unlike any other factors, enterprise factor shows the negative relations with social enterprise to revitalize. Third, the analytic outcome on multi-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employment factors show the positive relations with social enterprise to revitalize. but the analytic outcome on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enterprise factor has the same influence on social enterprise as the above relations analysis indicates. These analytic research outcomes stated above can draw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communication factor and labor factor expected and feared to show a low level in general do not make a big difference. Also, it is evidenced that rather than labor factor, communication factor has the more positive effect in facilitating social enterprise. Second, those who make the decision on employment in social enterprises show a positive response to most of work factors, while for enterprise factor, problems could arise in assuring the productivity or safety in enterprises and revitalizing social enterprise. Last, all the analytic outcomes prove positive regarding problems in relation to policy factor and social factor classified as environmental factors, namely, problems related to the necessity of governmental policies, social tolerance, changing awareness, etc. This demonstrates that setting aside from the necessity of multiple policies related to each factor, employing employees of multi-cultural families can help facilitate social ente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