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R&D조직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재직중인 농업연구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 선호유형과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연근무제 선호에 있어서 농업연구직 공무원들은 시차출퇴근제에 편중되어 있지 않았으며, 개인・집단・조직의 여러 특성이 유연근무제 선호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진흥청 연구조직의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정확한 홍보를 통해 유연근무의 분위기를 적극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직 공무원의 시간외 근무 패턴을 조절하기 위한 조직차원의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자율적 연구수행을 방해하는 불합리한 관료문화적 행태를 찾아내서 제거함으로써 상호 존중과 협력의 연구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를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직원들에 대한 인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 of flexible workplace for research workers a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NAAS) which is affiliated wit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in down the preference system about flexible workplace policy for particularly employees working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According to the findings, research workers at NAAS tend to show unbiased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flexible workplace. In addition, various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personal, collec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appear to influence preference system of flexible workplace. Based on results of analyses, this paper suggests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mote favourable atmosphere to flexible workplace through continuous advertising at the institution level. Second, organizational strategies to control the pattern of overtime work are required. Third, new organizational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should be fostered by eliminating irrational bureaucratic behaviors which hinders autonomous research. Lastly, it is also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not only promote innovative and open organization culture but also secure fairness of personnel management for workers who are willing to utilize flexible work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