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사회복지 패러다임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 애착도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애착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의정부지역 가구주 526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17일부터 2월 30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집락표집(cluster sampling)으로 27명의 조사원에 의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지역사회 문제의 심각성 인식 정도, 지역별로지역사회 애착도에 차이 여부, 지역사회 만족도 변인들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가구주의 지역사회 애착도는 전체 평균점수는 3.30(SD=.095)으로 “보통이다(3.0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거주형태, 거주기간, 장애 유무 변수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 애착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학력별로는 고졸이나 중졸자가 대졸자 보다,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자기 집을 소유한 응답자가 그렇지 못한 응답자보다 지역사회 애착도가 높았다. 주요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만족도 그리고 지역문제의 심각성 인식정도 변수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사회 만족도, 지역문제 심각성 인식정도의 변인들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을 투입하여 지역사회 애착도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연령, 장애유무, 거주 기간, 주거형태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지역애착도의 전체 변량 중 약 22.2%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 .222). 둘째, 첫 번째 모형에서 지역사회만족도를 투입시킨 결과 전체 지역애착도 변량의 약 2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 4.8%를 유의미하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번째 모형에 지역사회 문제 심각성 인식정도 변인을 투입한 결과 전체 지역애착도 변량의 약 2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 .9%를 유의미하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cent paradigm of social welfare is based on local communities, so community attachment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social welfare of the communit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aims at vitalizing social welfare of the communities by stud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establishment of community attachm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526 households in Uijeongbu for two weeks from 2014 February 17th to 30th. Cluster sampling was executed by 27 investigat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effects on community attachment by variances like different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community satisfaction rate depending on social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recognition levels of seriousness about community problems. As a result, the average rate of households' community attachment levels is 3.30(SD=.095), a bit higher than "normal(3.00)."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t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social demographic factors include that the variances of age, education, residential type, residential period as well as whether to have disability or not cause meaningful differences on community attachment among the groups. The level of community attachment is higher when age is higher as well as when residential period is longer(*p<.05). In terms of education, the level of community attachment is higher for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graduates. It is also highe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than those without it. Moreover, it is higher for the people who own their houses than those who do not. As a result of reviewing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nces, there exist high correlations among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community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seriousness about local communities problems. The findings about the effects of these variances on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the analysis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n term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munity attachment is meaningfully affected by age, residential type, residential period as well as whether to have disability or not. These variances represent 22.2% of the effects(R2= .222). Secondly, when community satisfaction is added to the variances, these as a whole represent 26.9% of the effects thus becoming 4.8% more meaningful. Thirdly, when recognition levels of seriousness about community problems is added to these variances as well as community satisfaction, these as a whole represent 27.8% of the effects thus becoming .9%. even more meaning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