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경험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한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결혼이주여성 4명을 인터뷰하여 내러티브탐구(narrative inquiry)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은 모국과한국, 두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이주하기 전 모국에서 경험한 한국어 교육은‘(한국어 교육 경험)결혼(한국어 교육 경험)-이주-경제활동’이라는 생애 설계를 실천하기 위해개인적 자본을 축적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에서 경험한 한국어 교육은 참여자들이막연하게 갖고 있던 ‘경제활동’의 개념을 구체화 하는 데 기여한다. 참여자들은 한국어 교육을통해 모국어와 모국문화라는 자본을 한국어로 변환하는 능력을 개발하게 된다. 참여자의내러티브를 탐색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어 교육 경험이 생애 설계와 능력 개발을위한 개인의 실천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생활 초기 적응과 정착을지원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현재의 한국어 교육 정책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어 교육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는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과 적응을넘어서는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은 성인으로서 마땅히 성취해야 할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에대한 생애 설계와 능력 개발을 실현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경험하고자 희망하고 있다.


This thesis is the probing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 meaning of that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4 migrant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ook place in their home countries and Korea. The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ir home countries can be understood as accumulation of personal capital, of which ends are to practice life planning of ‘marriage-migration-economic activity’.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in Korea contributes to materialize the concept of ‘economic activity’ which has been vaguely understood in early days by participants. They develop the ability to transform the capital of their native language and culture into Korean through Korean education. The narratives of participants bring to light that the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has a meaning of private practice for their own life planning and competency development. Furthermore, we can find that the limi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which have the ends to contribute social integration and early adaptation of migrants. The meaning that migrant women grant to the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is beyond communication and adaptation in daily life. Migrant women are hoping to experience Korean education that would be life planning and life competency development for the economic and social activit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