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특히 그의 수양론의 다양한 방법들이 서로 내적인 일관성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다산은 우선 상제의 명령인 天命을 삼가고 두려워하는 愼獨 공부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신독과 동일한 의미의 誠 공부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공부법은 자기 마음을 공정하게 잡는다는 의미를 가진 다산의 執中 공부와 직접 연결된 것이다. 다산은 중의 마음을 잡음[執中]으로써 中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고, 중의 마음으로써 恕를 실천하는 忠恕論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다산의 충서론은 흔히 ‘충실한 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필자는 이 글에서 다른 방식의 설명을 통해 다산의 충서론을 집중 공부와 연결시켜 보았다. 그리고 恕 개념을 중심으로 克己와 人心道心의 공부까지 연속적으로 해명하였다. 결국 이러한 몇 단계의 공부법을 통해, 다산 수양론을 신독으로부터 인의 실현에 이르기까지 정합적 구조로 이해하고자 한 것이 본 글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treatis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ŏng Yagyong's theory of Self-Cultivation. Especially I would concentrated on the inner consistencies of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Chŏng Yagyong regarded the cultivation of Sindok(愼獨) as being careful about Chŏnmyŏng(天命), and identified this cultivation with the cultivation of Sŏng(誠). By the way this cultivation was connected into the cultivation of Jibjung(執中), which was the way of making one's mind impartial. Furthermore he said that the cultivation of Jibjung could make one's mind moderate, and insisted on the theory of Chungsŏ(忠恕). For him Chung(忠) was rendered into impartial mind. So the concept of Chungsŏ was translated into Sŏ(恕) filled with impartial mind. According to this study, I would connect Chŏng Yagyong's theory of Chungsŏ into the cultivation of Jibjung, and extend the concept of Sŏ to the cultivation of Geuggi(克己) and the theory of Insimdosim(人心道心). Finally we could find that Chŏng Yagyong's theory of Self-Cultivation was constituted in consistent and coherent series from the cultivation of Sindok to the realization of In(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