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율곡철학은 퇴계 이기호발설을 부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철학이다. 따라서 율곡철학은 퇴계 이기호발설에 대한 순수한 의문제기와 퇴계 이기호발설 자체를 부정하는 두 가지 성격이 있다. 논자는 율곡철학의 순수한 의문제기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을‘이기호발설 확장’이라 하고, 율곡철학의 이기호발설 부정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을‘율곡철학 비판’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우담 정시한과 성호 이익의 사단칠정론을‘이기호발설 확장’과‘율곡철학 비판’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기호발설에 대한 율곡의 순수한 의문제기는 첫째, 二本說 혐의이고, 둘째, 理發과 氣發의 先後 離合의 문제이고, 셋째,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七包四]의 문제이다. 이 세 가지 문제는 理發과 氣發의 근원적인 관계구조로 통합된다. 우담은 율곡의 二本說 혐의를 體用一源的 一本說로 논파하였고, 理發과 氣發의 先後 離合의 문제를 氣發 속의 理發을 주장함으로써 논파하였으나, 理發과 氣發의 근원적 관계구조를 밝히지 못함으로써 七包四를 용인하는 애매한 태도를 취했다. 성호는 우담의 體用一源的 一本說과 氣發속의 理發을 계승하여 理發氣隨一途說과 理發과 氣發의 근원적 관계구조를 밝힘으로써‘이기호발설 확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성호에 의하여 밝혀진 理發과 氣發의 근원적 관계구조는 나무의 본줄기와 곁가지의 관계로 요약될 수 있다. 본줄기는 理發을 의미하고 곁가지는 氣發을 의미한다. 본줄기가 뻗지 못하면 나무는 곁가지만 무성한 상태가 되고, 본줄기가 위로 뻗음에 따라 곁가지는 조화를 이루며 본줄기에 붙어 있게 된다. 우담과 성호에 의한 이기호발설 확장은 가장 강력한 율곡철학 비판이다. 왜냐하면 율곡철학의 근본적인 토대가 바로 이기호발설에 대한 순수한 의문제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은 성호의 理發氣隨一途說에 의해서 그 존립근거를 상실하게 되고, 율곡의 理通氣局說은 성호의‘理發과 氣發의 근원적인 관계구조’에 의하여 타당성을 잃게 된다. 또한 율곡의 人心道心相爲終始說은 인심과 도심의 본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율곡의 도심은 사실상 인심을 관할 통섭할 수 없음이 밝혀진다. 율곡의「心性情圖」는 외부 →心 →情의 구조로서 仁義禮智의 性이 情의 직접적인 발출임을 부정한다. 또한 율곡의 氣質變化論은‘氣로써 氣를 검속하는’氣수양론임을 밝혔다.


Yulkok's philosophy was formed in process of denying the li-ki hoval theory.(理氣互發說 : The theory of mutual reaction of li and ki) Therefore his philosophy has two aspects, firstly raising the pure questions on the li-ki hoval theory, secondly denying the li-ki hoval theory itself. The explanation on the first can be called the expansions of the li-ki hoval theory. The critique on the second can be called the critique on the Yulkok's philosophy. This treatise is for the expansions of the li-ki hoval theory and the critique on the Yulkok's philosophy in the philosophy of Woodam Jeong Si Han and Seong Ho Li- ik. Yulkok's raising the pure questions on the li-ki hoval theory can be said to consist of three points. First point, doesn't the li-ki hoval theory assume that there are two roots of li and ki? Second point, if li can react, what relation does it have with the reaction of ki? The reactions of li and ki are supposed to be out of order. Third point, Seven Feelings[七情] can include Four Feelings.[四端] Woodam Jeong Si Han reputed the first and second point by the theory of one root of methaphysical substance and funcion[형이상자의 체용] that is called Cheyong ilwon.[體用一源] But he vaguely accepted the third point in account of failing to clarify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reaction of li and ki. Seong Ho Li-ik succeed to clarify the fundamaental structure of the reaction of li and ki.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reaction of li and ki clarified by Seong Ho Li-ik can be sybolized as a tree-stem and its branches.[refer to the cut 1] A tree-stem means the reaction of li, its branches mean the reaction of ki. In case a tree-stem can not grow upward straightly, a tree will be scrub with a bundle of branches.[refer to the cut 3] On the other hand, in case a tree-stem can grow upward straightly, a tree-stem will be in harmony with its branches.[refer to the cut 2]The expansions of the li-ki hoval theory are the stronggest critique on Yulkok's philosiphy. Yulkok's kival-lisung ildo theory lose its foundation by Seong Ho's lival-kisu ildo theory that is one of the expansions of the li-ki hoval theory. Yulkok's litong-kikuk theory also lose its foundation by Seong Ho's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reaction of li and 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