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 50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의 대상포진 지식과 건강신념이 대상포진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지식, 건강신념 및 대상포진 예방행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포진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설명적 관계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의 건강대학과 보건센터와 C시의 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로 50세 이상의 성인으로 총 12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월 28일부터 동년 2월 1일까지이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포진 예방행동은 성별, 연령, 월 가구소득, 대상포진 예방접종의 유무, 환자를 본 경험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예방행동과 건강신념 하위영역의 행동계기(r=.539), 지각된 유익성(r=.516), 지각된 민감성(r=.363)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포진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신념의 행동계기(β=.38)가 설명력 28.5%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지각된 유익성(β=.34)이었고, 행동계기와 지각된 유익성의 2개 요인이 포함되어 전체 설명력 37.4%로 대상자의 대상포진 예방행동을 설명하였다. 결론 : 대상자의 대상포진 예방행동과 건강신념과의 관계에서 행동계기와 지각된 유익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대상포진 예방행동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TV나 언론매체를 통한 내, 외적인 행동계기의 요소를 강화하고, 개인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지각된 유익성을 강조한 교육과 홍보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지역사회 보건기관이나 국가의 주도로 대상포진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며, 수행을 통하여 대상포진 이환율 감소에 기여한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behavior of herpes zoster(HZ) infection in adults over 50 years old. Methods: Participants were 126 of senior health university of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Jan. 28th to Feb. 1st, 2016 using the scales of measurements of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behavior for HZ infection. Results: Average age of subjects was 61.66±11.12. Vaccination rate of HZ was 11.1% of subject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 cues(r=.539, p<.001), perceived benefits(r=.516, p<.001), perceived susceptibility(r=.363, p<.001) on preventive behavior for HZ. Of factors affecting on preventive behavior for HZ, behavior cues for HZ was the best explanation power(β=.38) and perceived benefits for HZ was the explanation power(β=.34) which was the most and it combined with behavior cues and perceived benefits for HZ has 37.4% of explanation power. Conclusion: Health belief related variables for HZ was the most affecting actor to preventive behavior for HZ. It is assumed that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behavior cues and perceived benefits and to increase preventive behavior for HZ infection of adults over 50 years 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