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 음주빈도, 평소음주량, 폭음빈도 및 알코올사용장애정도와 비만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 중 19세 이상 5,943명의 자료로 음주행동과 비만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월 1회 이하의 음주자보다 주 4회 이상 음주자의 비만 가능성이 1.236배(95% CI 1.021, 1.486) 더 크다. 평소음주량이 1-2잔 이하인 사람을 기준으로 할 때 평소 5-6잔을 마시는 사람의 비만 가능성이 1.297배(95% CI 1.055, 1.594). 7-9잔을 마시는 사람의 경우는 1.656배(95% CI 1.318, 2.080), 그리고 10잔 이상을 마시는 사람은 2.363배(95% CI 1.870, 2.985) 더 크다. 폭음빈도에 있어서 남자의 경우 월 1회 미만 음주자보다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폭음을 하는 사람의 비만 가능성이 1.612배(95% CI 1.311, 1.982), 매일 폭음을 하는 사람은 2.179배(95% CI 1.517, 3.130) 더 크다. 여자의 경우는 월 1회 미만 폭음자 보다 주 1회 정도 폭음을 하는 여성의 비만 가능성이 1.422배(95% CI 1.038, 1.949) 더 크다. 알코올사용장애(AUDIT) 점수 0-7점자보다 AUDIT 8-15점에 해당하는 사람의 비만 가능성이 1.220배(95% CI 1.035, 1.438), 16-19점에 해당하는 사람의 경우 1.422배(95% CI 1.079, 1.874), AUDIT 20점 이상일 때는 1.682배(95% CI 1.275, 2.220) 더 크다. 결론 : 음주빈도와 평소음주량 모두 비만율과 J자형의 관계를 보인다. 남자의 경우는 폭음과 비만은 매우 강한 관련성이 있으나 여성에게서는 쌍봉의 경향을 보인다. 여성에게는 음주행동과 비만이 관련성을 갖는다고 결론을 맺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으나 남성에서는 매우 뚜렷한 관련성이 있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rinking frequency, drinking quantity, binge drinking frequency, and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 Methods: Five thousand nine hundred and forty three cases of 19 years old or over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raw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2 were applied to chi-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y correlates of obesity by drinking behaviors. The final control variables wer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Results: Weekly drinkers are 1.236 times more likely to have obesity than Abstainer or less than monthly drinkers. Who drinks 5 or 6 glasses is 1.297 times, who drinks 7 or 9 glasses is 1.656 times, and who drink 10 or more glasses is 2.363 times more likely to have obesity than who drinks 1 or 2 glasses on a typical day. For male who has binge drinking occasion weekly is 1.612 times, and who has daily or almost daily is 2.179 times more likely to have obesity than who has less than monthly. For female who has binge drinking occasion weekly is 1.422 times more likely to have obesity than who has less than monthly. Who gets 8 to 15 points by the AUDIT is 1.220 times, who gets 16 to 19 points is 1.422 times, and who gets 20 points or over is 1.682 times more likely to has obesity than who gets 0 to 7 points. Conclusion: J shapes are shown between obesity rate and drinking frequency, and drinking quantity. But male’s and female’s shapes are different between obesity rate and accumulated frequency-quantity. Male’s shape shows almost linear shape but female’s one shows two peaked shape. Therefore there are strong relations of obesity rate by drinking frequency, drinking quantity, binge drinking frequency, and AUDIT score for male conclusively, but not for fem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