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만성콩팥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성콩팥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과정은 질병비용연구(cost of illness study)에 바탕을 두었다. 총비용은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으로 나누어 추계하였다. 추정에 이용된 자료는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진료비와 직접비의료비 및 간접비용 추정에 필요한 각종 통계자료이다. 분석은 가장 최근 연도인 2011년을 기준으로 유병률 접근법에 의한 한 횡단면 분석(prevalence‐based cross‐sectional design)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2011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만성콩팥병으로 인해 발생한 직접 의료비가 1조8,696억 원, 교통비 1,344억 원, 간병비 1,102억 원, 시간비용 2,098억 원, 사망손실 1,746억 원, 장애손실 2조5,233억 원으로 총 5조219억 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추정과정에서의 한계점으로 인해 다소 과소추계되었음을 감안한다면, 실제 만성콩팥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이 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다른 주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과 비교해 보아도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는 질병 간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결정하고 필요한 자원의 규모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정책을 입안하는 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만성콩팥병의 예방관리를 위한 보다 많은 노력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s the socioeconomic burden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in Korea. Methods : Overall process of estimating the cost of CKD is based on the cost of illness study. Total cost is divided into both direct and indirect cos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 2011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and other secondary databases that are needed to estimate indirect costs. The prevalence‐based cross‐sectional design approach was used.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socioeconomic burden of chronic kidney disease is alarming in Korea, where total direct and indirect costs associated with CKD are estimated over KRW 5,000 billion (US$ 5 billion) in 2011. Given the limitation of study data and estimation process, the results might have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other major chronic disease, cost of CKD can be considered as substantial.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CKD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more prompt attention to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KD need to be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