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게슈탈트 교육(교수-학습법)의 성격과 그것의 교육학적 함의를 설명하는데 있다. 방법적으로 말하면, 이 논문은 메리 엘리자베스 멀리노 무어의 저서 Teaching from the Heart에서 언급된 게슈탈트 교육방법에 대한 설명들을 해체,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그 재구성한 것을 주석하는 방식으로 완성시켜진다. 여기서 하는 주석식 작업은 게슈탈트 교육의 구조적 속성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네 개의 아포리즘(aphorism)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아포리즘은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학습 과제의 속성’, ‘학습 자료의 제시방식’, ‘학습자의 주체성’, 그리고 ‘부대학습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각 장마다 먼저 하나의 아포리즘이 그 장의 소제목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그것에 따라 “그 장에서 말하는 아포리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아포리즘을 통하여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이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논증해 간다. 융합연구 차원에서 과정적 사고나 게슈탈트 심리치료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함께 언급된다. 게슈탈트 교육이 산발적으로 논의되기는 했지만 강의식이나 토의식 같이 완전한 하나의 교수-학습 모델로 구조화된 일은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게슈탈트 교육”은 이제 하나의 틀로 완성시켜 가야 할 배아 상태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게슈탈트 교육이 교수-학습법의 하나로 완성되는 데 필요한 기본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기여는 이 논의를 통하여 게슈탈트 교육이 하나의 틀로 완성되어 현장에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게슈탈트 교육이 기존의 교육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하나의 교육적 대안으로 자리매김 하게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이 이후의 게슈탈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완성도가 높은 차원에서 이루어지도록 그 논의를 여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Gestalt education" and to explain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method, this discussion begins with the analysis of Mary Elizabeth Mullino Moore's statements on the gestalt method of education in her book Teaching from the Heart, and ends with the exegetical interpretations of the statements. This exegetical work will be proceeded with four aphorisms which clarify the structural natures of the gestalt teaching-learning model. The four aphorisms are about the nature of the learning subject in gestalt education, the presenting method of the learning materials,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s subjective being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gestalt method in dimension of hidden curriculum. In each section, an aphorism is presented first, as the title of this part. Then the explanations are provided to identify what the aphorism means, where we can find the validities of the aphorism as a declaration of the nature of gestalt education. Finally, the clarifying explanations are added in the light of gestalt therapy in order to make the nature of gestalt education more clear. In fact, the gestalt teaching-learning model has been introduced sporadically, but is not presented in a fully established form as in the cases of the lecture model and discussion model. Accordingly, the gestalt model will be established in a more sophisticated manner now. In that sense, the basic job of this discussion is a preparation for the structural basis of gestalt education. However, the major contribution and expectation of this discussion is to maintain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makes the learners more and more subjective beings functioning as the concrete and effective mechanisms in ameliorating this world. In that sense, this article might have potentials in leading the more ingenious studies of the gestalt educ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