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기 기독교공동체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서로 경쟁하며 발전해 나갔다. 하지만 공교회가 정립되면서 교회가 요구하는 교리에 부합하지 않는 많은 공동체들이 역사상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영지주의 기독교이다. 그동안 영지주의 기독교는 이레니우스를 비롯한 교부들의 글과 몇몇의 영지주의 문서들을 통해 알려졌지만, 이제는 [나그함마디 문헌]의 출간으로 인해 많은 내용들이 밝혀지고 있다. 영지주의 기도고교의 신앙적 특성을 요약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주요 영지주의 문서들을 통해서 그들의 사상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영지주의 기독교는 공교회가 정경의 확정과 교리의 확립 등을 시도하도록 자극제가 되었다. 현대의 기독교는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는다. 영지주의 기독교를 역사적 관점에서 ‘정통’과 ‘이단’이 확립되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기독교의 한 부류로 인식한다면, 그들이 지니고 있었던 신앙적 특성은 다시 한 번 기독교영성의 방향을 전망하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knew about many Christ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backgrounds. However, when the early Catholic church as an institution with an organized ministry and sacraments has been developed and structured, many communities had disappeared from the historical stage. The Gnostic Christians were followers of a variety of religious movement which disappeared. Until recently, scholars were entirely dependent upon the descriptions of the Gnostics in the church fathers. However, the Nag Hammadi Library provides primary source documents for the study of ancient gnostic movements. The characteristic beliefs of the Gnostic Christianity are difficult to summarize but it is possible to find in some clearly gnostic texts ideas that appear from the standard description of gnostic beliefs. As the Gnostic Christians had challenged to the orthodoxy church to arrange its dogma, we expect that their beliefs will direct today's Christians to have a deep spirit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