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종교들의 대화방법으로서 라인홀드 베른하르트의 상호포괄주의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까지 종교간의 대화는 종교의 공동본질로서 궁극적 실재를 해명하는 종교신학이나 혹은 종교간 차이에 주목하는 차이해석학의 과제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베른하르트는 종교신학이 지닌 종교적 정체성 부재와 차이해석학이 지닌 기독교와 이웃 종교들 사이의 상호관계의 부재를 비판한다. 그 대안으로서 그의 ‘상호포괄주의’의 입장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종교들의 대화는 기독교와 다양한 개별종교들이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인식하는 장소이다. 둘째, 종교들의 대화는 기독교와 개별종교들이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변혁하는 장소이다. 베른하르트는 종교신학의 개념적 틀로서 삼위일체론을 이해하면서, 종교들의 대화에서 기독교와 개별종교가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의 변혁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그의 정체성의 변혁은 다른 종교와의 ‘동일성’과 ‘타자성’의 양극성에서 새롭고, 낯설고 저항을 유발하는 새로운 종교적 경험을 통합하는 데에 있다. 셋째, 종교들의 대화는 종교간 공동현실성으로서 ‘신의 자기묘사’가 드러나는 장소이다, 특히 베른하르트는 종교들의 대화를 종교적 인식의 상호관계적 이해의 장소로 이해하면서 이웃종교를 대화의 주체로 이해한 것은 그의 상호포괄주의의 핵심이다. 그의 종교들의 대화의 원칙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종교들의 대화는 종교적 전문가의 대화가 아니라. 모든 종교인의 종교적 삶을 포함하는 대화여야 한다. 두 번째 종교들의 대화에서 기독교와 개별종교들은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변혁시키기 위해서, 상대방의 종교시적 전통과 만나야 한다. 그는 기독교와 다양한 종교 사이의 공동적 현실성을 삼위일체적 신의 자기묘사로 이해한다. 삼위일체적 틀은 기독교가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인식하는 장소이면서, 이웃종교가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의 변혁을 일으키는 장소이다. 따라서 기독교와 개별종교는 다른 종교의 종교사적 전통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의 변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와 개별종교들은 서로에 대해 개방적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종교들의 대화는 기독교와 모든 종교사이의 상호성을 인지하게 해야한다. 결론적으로 그의 상호포괄주의에 기반하는 종교들의 대화는 세계기독교 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과 종교들의 만남과 협력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f the mutual inclusivism as the methode of the interreligious dialogue by Reinhold Bernhardt in the situation of religious pluralism. Up to date the interreligious dialogue is aimed to seek the universal essence of religions in the religionstheology or to cognize the difference of religions in the difference-hermeneutics. On the one hand, criticizes Bernhardt exclusivity and superiority of christianity, and the absence of religious identity in religionstheology and of correlation between religions and the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criticizes he hermeneutic inclusivism, because this inclusivism claims the cultural relativity of religions and overlooks the mutual relationality between religions and christianity. As Bernhardt perceives the plurality of religions and the construction of absoluteness of religions in the perspective of his mutual inclusivism, tries he to understand self and his religion in relation to religions traditions and to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s and christianity. He premises the cultural relativity of all religions and cross­relationship. First, The interreligious dialogue implies interrelational and practical conversation between religions people and christian in every day. His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t only limited to the dialogue of religious experts, but also includes conversation of all religious people in everyday. Second, in his interreligious Dialogue with the concept of trinity tries he to understand the universality of God in tradition of christianity and the particularity of historical jesus. Besides orients his interreligious dialogue the self­ identity of christianity and the unity of churches. Finally, his interreligious Dialogue meets the methode of transcendent and conceives the mutuality between christianity and all religions. His interreligious Dialogue can contribute to ecumenical movement of christian churches and the cooperation and encounter of religions. But the Problem of his mutual inclusivism remains in that he overlooks the plurality of hermeneutics and hermeneutic conflict between all religions and christia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