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서는 세속 규범의 차원을 초월하지만, 동시에 기독교가 갖는 역사 사회적 성격은 성서의 윤리적 차원에 주목하게 한다. 특히 복음서의 예수의 가르침들은 기독교 윤리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데, 그 중에서도 예수의 공생애를 열었던 첫 설교 산상수훈/평지설교(마 5-7장/ 눅 6:20-49/Q 6:20-49)는 그 핵심이라고 하겠다. 초기 기독교 문서들인 디다케, 클레멘스서등에 이 본문의 병행구들이 강조 반복된다는 사실이 보여주듯 이 본문은 교회 역사 속에서 중요한 윤리적 가르침으로 일찍이 자리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여기 말씀들은 개인적인 윤리적 가르침을 넘어 초기 기독교가 추구했던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적 이상과 그것의 실현을 반영한다는 사실이다. 로마제국이나 유대전통 그 어디서도 볼 수 없던 자비와 평등의 공동체라는 탁월한 이상을 추구했고 또 실현했다고 평가받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의 근저에 바로 이 본문이 말하는 공동체적 이상이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먼저 고대세계에서 공동체적 이상과 관련된 주요 논의들을 검토하고 그것을 이 본문에 반영된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과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나아가 역사적 예수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Q 공동체의 하나님 나라운동의 공동체적 이상을 탐색하고, 그 구체적인 실행에 있어 결정적 관련성을 보이는 원수사랑의 가르침을 조명하고자 한다.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Jesus' first sermon, the Kingdom discourse (Q 6:20-49), has significant considerations regarding its socio-political dimension. Since the term the “Kingdom of God" accompanies socio-political implication within this discourse, it is appropriate to examine Jesus' teaching of 'love for enemy' in terms of a pursuit for a just and equal society, which was eventually actualized by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Love for enemy' is often discussed in the broader scope of ancient wisdom tradition with relevancy for relationships of all people contemporary to that day. It is, however, too radical to be interpreted simply as a universal teaching for individuals living in an ancient society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were highly adhered to. This teaching is assumed to have specifically become the foundation that contributed to build the basis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here the least significant, even one’s enemy, was to be more regarded than the prestige of John the Baptist (Q7:18-35),thereby enabling the protection of its entire membership, even the socially outcast. This paper will explore the teaching of ‘love for enemy’ to distinguish it as foundational to the socio-political relationships of the early Christian movement of the Kingdom of God, which attempted to bring a new social paradigm of compassion and mercy led by Q discourse. This radical teaching, rather than simply being a solely universal and religious teaching, will be examined from the point of an implication in the destruction for the given social criteria of the time in order to build an alternative community whose example renders precious meaning for society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