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지도와 지도에 표현된 내용이 상징 경관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세계지도인 <<천지도>>와 <<천하도>>는 동양 고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의 세계관이 담긴 심상지도이다. 조선의 세계지도에는 조선을 상대적으로 크게 그리고, 군현지도 중에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 아닌 다른 방위로 표시하기도 하며, 서울에서는 도성을, 지방에서는 읍치를 크게 그려 강조하고, 읍치를 지도의 중앙에 그리며, 하나의 지도에 중심부와 주변부의 축척을 서로 다르게 표현한 지도들이 존재한다. 이는 지도제작자와 당시 사람들이 세계 속에서 조선을, 우리 국토 내에서 서울을, 한 지역 내에서는 읍치를 중심으로 생각했던 인식의 상징이다. 또한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들은 지도에 대한 국가적 이념화를 보여 준다. 이 또한 조선시대의 지도들이 지역과 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당시의 실제 경관 사이의 대화의 산물이며, 동시에 사회가 공유한 문화와 철학의 표현, 상상의 산물이며, 정치와 권력의 반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old maps of Korea can be explained as a symbolic landscape. Cheonji-do(Map of the Heaven and the Earth) was the map reflecting the traditional world view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in the mutual relation. Also, this map could be the mental map embodies the oriental philosophy which believe that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 The ancient imaginary countries are expressed through Cheoha-do(Circular Map of the World), the symbolic map of oriental mythology. We can find the perspective landscapes that regard Joseon and China as the center of the world, Seoul as the heart of the country and the administrative center as the hub of the county. Maps of the Joseon Period can be a communication tool imbedded in culture, history, selected perspective as well as the reflection of the politics and the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