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의 전통적 공간인식체계 또는 전통지리학으로 이해되어 온 풍수와 관련된 지명을 대상으로 그 유형을 분류해 보고 그것이 장소 의미 구성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풍수 지명이 지시하고 있는 구체적 현상 그리고 그에 반영되어 있는 풍수의 인식론적 토대, 구성요소, 이론 등을 기준으로 풍수 지명을 분류해 보았다. 풍수 지명은 풍수의 주요 구성요소인 산, 수, 그리고 산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의 정주공간인 마을에 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방위보다는 형세중심의 풍수, 음택보다는 양택이나 양기풍수, 그리고 한국 풍수의 특징인 형국풍수가 마을공동체 차원에서 주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체 중심적 사유 틀인 현상학적 입장과 구조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후기구조주의적 인식론을 토대로 장소 의미 구성에서 풍수 지명이 갖는 위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의 구체적 경험대상이 되는 풍수 지명이 장소 의미를 구성하는 의미 있는 경관요소이자 실제 물질적 현상을 지칭하는 언표적 배치물로서 서로 이웃관계를 맺으며 장소 의미 구성에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lace name of Korean fengshui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and spatial epistemology. First, I tried to classify place names of fengshui according to several theoretical bases with fengshui, keeping pace with experiential surveys on Geumsan district of Chungnam Province. Then, based on phenomenological and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s,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lace name of fengshui and the meaning of place. In conclusion, I identified that place names of fengshui mostly indicated three important elements and units: mountains, water, and human settlement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water. And the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proposed that place names of fengshui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lace as a meaningful landscape and a linguistic disposition or vicinity related to physical elements and human settlements at the sam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