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남계서원·필암서원·돈암서원·무성서원의 입지, 내부 공간 구성, 그리고 당호의 의미 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들 4개 서원은 야경 서원의 사례로 고찰되었다. 야경 서원은 평야지역에 입지하고 넓은 전망 경관을 가진다. 이들 서원은 전망을 위한 누각이 있는데, 전망 경관은 천인합일의 느낌을 준다. 야경 서원 역시 유교적 예를 구현하는 ‘전당후묘’의 건축 공간 질서를 나타낸다. 그러나 서원이 평야에 입지한 까닭에 ‘전저후고’의 지형 이점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없다. 따라서 평지 입지 서원은 건물 배치를 조정하여 사당을 존중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또한 서원의 당호는 신유학의 이념을 표현하는 문자 기호 경관으로 서원을 교학적 의미 체계로 구성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location, inner part organization, and meaning system of building names of Korean Seowon. Namgye Seowon·Pilam Seowon·Donam Seowon·Musung Seowon, designed by Korean Government as national historic site. These four Seowons were investigated as examples of plain landscape Seowon. They are located in plain region and have vast front view. These plain landscape Seowon have observation buildings. On the observation building, front views of Seowon were appreciated as spiritual union toward heaven and human beings. They also embodied confucian propriety by constructing spatial order where “education in the front and religion in the back”. Being located on plain, plain landscape Seowon could not effectively make use ground configuration of “low front and high back”. They must practice building allocation adjustment to respect shrine. Moreover, characterial symbols of Seowon building names, representing Neo-Confucian ideology, filled Seowon with educational mea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