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사물의 사회적 삶’의 현장으로서 알라딘 오프라인 중고서점(대구점)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공간으로 이동한 이차 사이클 소비 공간에서 나타나는 물질성과 공간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서점이라는 소비 공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공간으로 이동한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그 두 공간 사이의 역학적 공간 관계와 변화를 고찰한다. 여기서는 주로 신문 자료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거시적으로 이해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사이에서 재매개된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나타나는 물질적 및 수행적 환경과 그것을 통해 나타나는 공간성을 설명한다. 특히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위’와 ‘변위’ 현상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이차 사이클 소비 공간의 맥락에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알라딘 대구점에 대한 관찰과 서점 직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미시적으로 조사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알라딘 중고서점의 물질성과 공간성을 Augé의 ‘비장소’ 개념으로 비판하면서 그 대안적 방향을 Oldenburg의 ‘제3장소’와 Urry의 ‘사이공간’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materialities and spatialities of the second-cycle space of consumption which has moved from online to offline space, focusing on an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Daegu as the locale of ‘the social life of things’. The second section reviews the process in which bookstores have moved from offline to online space and the dynamic spatial relations and changes between the two spaces. Here it understands them through a macro approach using newspaper articles and statistic data. The third section explains material and performative environments and spatialities which appear in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remediated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Especially, it pays attention to the ‘displacement’ and ‘disloc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and explains them in the context of the second-cycle space of consumption. Here it investigates them through a micro approach based on observations on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Daegu and on interviews with the staffs. And the final section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criticizing the materialities and spatialities of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terms of Augé’s concept of ‘non-place’, suggests an alternative direction through Oldenburg’s concept of ‘third place’ and Urry’s concept of ‘inter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