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민왕대의 동녕부 전역은 압록강 너머 요동 지방의 울라산성과 요양성 및 그 주변 지역을 공격했던 일련의 군사행동이다. 본고에서는 이 전역의 구체적 진행 양상을 고찰하면서 사건의 요인과 의의에 대해서도 새로이 짚어보고자 하였다. 공민왕이 동녕부 전역을 결심한 근본적 원인은 기새인첩목아의 동녕부 세력이 공민왕의 왕권 유지에 강한 위협요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2차에 걸쳐 진행된 본 전역은 1차 공격에서 주변 지역을 정리하여 포석을 닦고 2차 공격에서 본거지를 쳐서 동녕부 세력을 와해시키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주로 조선 시대에 기록된 각종 사료에서는 이 과정의 서술에서 이성계를 크게 부각시켰으나 실상 그의 위치는 지휘서열 3위 정도로, 그가 전역의 모든 것을 주도하지는 못했던 듯하다. 2차에 걸친 공격을 통해 기새인첩목아의 세력을 와해시킴으로써 전역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공민왕은 왕권에 대한 위협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군사적 성과로 인하여 강화된 위상과 정국 주도권을 획득하는 성과도 얻었다. 국내 군사 제도 면에서는 전역 수행을 위해 서북면에 설치되었던 5개 만호부와 익군의 체제가 이후에도 정착되어 서북면지역에 대한 제어권을 강화하고 새로운 병력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도통사 제도를 정비하고 상설화함으로써 군 조직에 대한 국왕의 통수권을 제고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본 사건은 동북면의 강력한 군벌세력이었던 이성계에게 세력 확장의 기회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종합하자면, 본 전역은 국외 진출이나 대외 정벌과 같은 고려의 외연확장이라기보다는 외부적 요소에서 촉발된 내부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행위였으며 그 영향 또한 고려 내부에 더 의미 있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Dongnyongbu campaign in the reign of King Kongmin refers to a series of military actions against Ulla mountain fortress and Liaoyang castle in the region of Liaodong beyond the Yalu river and nearby area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progress of the campaign and cast new light upon the causes of the incident and its significance. The fundamental cause for King Kongmin's decision for the Dongnyongbu campaign is found in the fact that the Dongnyongbu forces of Ki Saeintimur posed a strong threat to the maintenance of the sovereign power of King Kongmin. The campaign, which was carried out twice, built the base in its first offensive, and attacked the stronghold of the enemy to break up the enemy forces of Dongnyongbu. Althoug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on this process mainly recorded in the Joseon Dynasty, brought into relief Yi Seonggye, it seems that in fact his position was only third in the order of combat command, not able to lead the whole process of the campaign. Through the offensives of two times, the campaign was successful by crashing down the forces of Ki Saeintimur. King Kongmin was able to get rid of the threat to his sovereignty, and reinforce his position and take the initiative in the political situation due to the military achievements. In terms of military institutions, the success reinforced the control over the northwest region of Goryeo and secured new resources of army by establishing five Manhobu and the Ikgoon system even after their initial introduction in the northwest region of Goryeo to carry out the campaign. Furthermore, King Kongmin could improve the Dotongsa system and establish it as a permanent institution, which raised his supreme command over military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campaign also provided Yi Seonggye, a powerful warlord in the northeast region of Goryeo, with an opportunity to expand his influence. In summary, the campaign in question was an action to relieve the domestic instability triggered off by outside factors, rather than an attempt to extend the borders of Goryeo including overseas expansion and conquest. And we need to take of the fact that the effect was also more significant within Goryeo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