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3년에 공주수촌리의 백제고분에서 새로운 자료가 많이 발굴되어 무령왕릉발굴 이후 최대의 수확으로 평가되고, 학계의 관심을 집중시킨 바 있다. 구릉의 말단부 대지상에 분포된 고분은 6기인데, 묘의 구조형식으로 보면 토광묘 석곽묘 횡구식석곽 횡혈식석실 등 여러 종류가 포함되었고, 그 곳에서 출토된 부장유물에는 금동관모 환두대도 중국제자기 이형철기철기(살포) 단각고배 등을 비롯한 중요한 유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고분의 기반 위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는데, 핵심적인 것은 이 고분의 축조시기가 백제의 웅진성천도 이전, 즉 전기인 한성시대에 속한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현재 학계의 통설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필자가 검토하여 본 결과, 위와 같은 통설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①묘지의 특이성, 5기의 고분은 20m☓24m의 좁은 범위 안에 서로 조밀하게 근접되어 있어서 개별의 분구를 가진 5기의 고분이 아니고, 하나의 분구 안에 포함된 다장의 분구묘형식이다. ②석실은 궁륭상천정식석실을 목표로 하여 축조하였으나 기술의 미숙으로 중간에 머물러 반궁륭상천정식이 되었다. ③금동관모와 환두대도 등은 상감문양 등으로 볼 때, 상감기술은 낙랑과 고구려 등 북방으로부터 한성을 통하여 웅진성으로 내려와 5c중엽 이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④단각고배는 한성에서 시작하여 남한강수계지역을 통하여 5c후엽∼6c초엽에 남부지방으로 확산되어 갔고, 단각고배가 출토된 5호석실의 연대도 이시기로 추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의 수촌리 백제고분의 연대는 5c말엽, 즉 동성왕대로 추정된다.


Plenty of materials of archaeological research were excavated from Paekche tombs in Suchon-ri, Kongju in 2003. It was considered as the most valuable acquisition after excavating of the Tomb of King Muryong and took the focus of the academic world. Six tombs are distributed over the ground at the end of a hill. Structures of the tombs include pit-tomb, stone coffin-chambered tomb, side-entrance-type stone cist, cave-type stone chamber and etc. Many important burial accessories, such as gilt-bronze diadem, sword with ornaments, chinese porcelain, iron object (small iron spade), low pedestalled bowl and etc. were found at the tomb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many studie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tombs is that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tombs is before the transfer of Paekche's capital to Ungjin, that is, Hanseong Age. It is a common opinion in the academic world at present. However, I got a different opinion after reconsideration of the tombs. 1) Singularity of the tombs. Five tombs are in bungumyo form, which includes much burials in narrow zone of 20m × 24m. 2) The stone chamber was supposed to have dome-ceiling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but the stone chamber came to have half-dome-celing as a result of limited technical skill. 3) Considering the inlaid pattern of gilt-bronze diadem and sword with ornaments, the inlaid technique was brought to Unjin-sung from the northern nations, such as Lo-Lang and Kao-kou-li by route of Hanseong, and the diadem and the sword was produced after the mid-fifth century. 4) Production of low pedestalled bowl has originated from Hanseong, and transmitted to southern regions through Nam-han river system in the latter-fifth to the early-sixth century.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stone chamber No 5 containing the low pedestalled bowl is presumed to be the period of the latter-fifth to the early-sixth century. It thus presumed that the Paekche tombs at Suchon-ri has constructed in the latter-fifth century, that is, the Age of King Dong-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