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콜버그의 클러스트 스쿨(Cluster School)을 통한 정의 공동체적 접근은 학생들이 실제 삶의 문제를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도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 교육 프로젝트이다. 이 실험 학교는 콜버그의 현장 경험을 통해 그의 초기 인지 발달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각종 운영 기구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자율성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정의 공동체 학교모델을 한국의 학교 도덕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전제와 과제을 찾아보고 그 해법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정의 공동체적 학교에 대한 우리나라 학교 구성원들이 이해해야할 전제를 살펴보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정의 공동체 학교 모델의 도입에 따른 현실적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논문은 정의 공동체 학교의 도입에 대비한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 학력의 저하 등 부작용 해소, 학교 규모와 학급에의 적용 문제, 운영을 위한 의제 선정 등 적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Kohlberg's just community approach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is one of the way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moral education. This method can be discussed to the project of real-life issues and adjust to korean moral education Kohlberg's Cluster school Approach is a kind expeiment of the just community. The background of this approch comes from his experience of Niantik Rehabilitation Center, Israel Kibbutz experience and his rethinking about potential education. He views precondion of the cluster school resulting from voluntary participation for students. The goal of this training and education courses and various operating mechanisms of students autonomy have focused on the incidence. In order to apply this approach to Korean moral education, We must be preceded understanding of Kohlberg's just community approach. Furthermore, We must know the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and should recognize that involvement should be identified to interfere with real problems. Finally, we must apply to our training and education, including measure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