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업중단 시기를 거쳐 학교에 복학한 청소년들의 학교 재적응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학한지 6개월 이상 경과한 전문계 고등학생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Strauss와 Cobin(2008)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33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그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학업동기 발생’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학업동기화 전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 이후 ‘학업동기가 발생’하고, ‘학교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각오를 다지고 습관을 변화’시키며, ‘가족을 생각’하며, ‘친구관계를 형성’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학교 재적응 과정 전반에 미치는 조건은 ‘부모·친구·교사·전문가의 지원’이 있었고, 학교 재적응으로 나타난 결과는 ‘학교생활 적응’, ‘비행 중단’, ‘꿈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복학 후 재적응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복학생들이 재탈락하지 않도록 조력하기 위한 개입방법의 틀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nth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guidance of the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bin(2008). Open coding results in 133 concepts, 42 sub-categories followed by 19 more abstracted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academic motivation’. Participations had perceived the situation and had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before they had motivation to return to school. In the process of ‘having motivation’ and ‘re-adaptation in the school’, they experienced ‘reestablishment determination’, ‘changing habits’, ‘thinking family’ and ‘building up friendship’. A support of parent, friends, teachers, and expert was significant conditions to affect the process of school re-adaption. The results of school re-adaption were ‘school adaptation’, ‘discontinuance delinquent’ and ‘having a dream’.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practical supporting method to prevent re-dropout of return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