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xploring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factors relating to the photosynthesis knowledge such a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provides with important information on selecting an assessment forma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e degree of certainty, and knowledge of photosynthesis in multiple-choice and open-response assessments. Two-hundred-ninety-one students in women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split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multiple-choice assessment and another group was given open-responses assessment. Both groups responded 5-point Likert scale for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of each ques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lower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of knowledge in open-response format than in multiple-choice format. The correlations among the knowledge of photosynthesi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were lower in multiple-choice format than in open-responses format. This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be exposed to open-responses format and have opportunities to reduce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open-responses assessments.


선택형 방식과 개방형 방식의 평가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대한 자아 효능감, 지식에 대한 확신성의 심리적 요인은 차이는 평가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 지식의 평가 방법 중 선택형 방식과 개방형 방식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자아 효능감, 확신성, 지식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경기 소재 여자 중학교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절반의 집단은 선택형을 나머지는 개방형 평가를 시행하고 각 문항별로 제시된 자아 효능감과 확신성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자아 효능감과 확신성은 선택형에 비하여 개방형이 더 낮았다. 선택형 평가에서 광합성 지식과 자아 효능감, 확신성의 상관관계는 개방형에 비하여 낮았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제언하면, 학생들의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개방형에 노출되는 횟수를 증가시켜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방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