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유형과 특성에 따른 분류체계와 역사문화자원 개발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전남 순천시를 사례로 하여 문화관광 요소로서 지역역사문화자원의 경쟁력 있는 개발을 위한 정책대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지역의 역사문화 및 생태자원(이하 지역사회자원)은 특정한 지역 고유의 유·무형 자산으로서 자연환경, 건물, 사람, 역사유적, 장인적 기술, 전통산업 등 넓은 범위와 다차원성을 갖고 있다.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개발 정도를 진단·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생태자원 관광자원화 진단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된 진단체계는 단순한 역사문화자원의 분류체계가 아닌 개발정도를 진단준거와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그 분류를 바탕으로 개발정도를 진단하는 체계이다. 객관화된 진단지표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의 개발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전국의 여러 역사문화자원에 적용함으로써 타 지역 간 문화비교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진단 체계개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개발된 진단체계를 전남 순천시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역사문화자원의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It is important to develop tourism resources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of local economy. However, in the area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 variety of inter-regional connectivity, enhancing creativity and content development are necessary. To do this,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needed. And characterization and diagnosis of them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case of Suncheon area of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These resources were diagnosed and evaluated for degree of local tourism resource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Suncheon Bay, SongGwangSa, SeonAm Sa and Nagan Castle have a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The rest of them are the vulnerable state in terms of development. This study developed the diagnosis system of tourism resources based on local,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This system is based on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Hence, the study may contributed to objectify the diagnostic indicators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