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9년부터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지역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사례로 네트워크의 운영조건과 네트워크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네트워크 형성요인 – 네트워크 구조적 속성 – 네트워크 효과성’ 경로모형을 수립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시도의 124개 기초자치단체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수행 거점기관을 중심으로 각 거점기관별 협력관계에 있는 유관기관들을 포함하여 1,080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자본요인인 신뢰와 자본의존요인이 높은 네트워크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높은 상호호혜성을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의 경우, 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적 속성과 효과성의 관계에서 참여기관 간의 밀접한 연계를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는 자원획득과 기관만족도로 설명되어지는 효과성이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ⅰ) 반드시 강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ⅱ) 효과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서는 집중형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 (ⅲ) 비도시 지역 지방정부의 지역 내 다양한 참여기관 발굴·연계 및 도시지역 지방정부와의 참여기관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Focusing on the basic welfare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this study’s aims are twofold in general: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the network operation conditions and effectiveness, it established the course model of ‘the formation factors-the structural properties-effectiveness of the network’ and aimed to analyze the model empirically. In case of density, the higher density was shown in a network with higher level of trust, the social capital factor, and capital dependency factors whereas the lower density was shown in a network with higher mutual reciprocality. Also the effectiveness, which is explained by the acquisition of resources and institutions’ level of satisfaction in a network where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 institutions, was low, instead. Particularly, the results showed three key points in the network: first, the network does not always require a strong connection among organizations; second, effective network management does need the establishment of a concentrated network; and finally, the network needs the development of and link to various types of organizations in a non-urban, local governmental region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participating organizations in an urban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