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의 정체성 표현 방식 중 하나인 캐릭터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방정부의 캐릭터에 대하여 이론적으로는 인상 관리와 감성정부화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2014년 한국 전체 244개 지방정부 캐릭터를 전수 조사하여 도상성과 서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의 85.9%에 해당하는 221개 지방정부가 캐릭터를 갖고 있으며 특히 호남권 지방정부의 93.2%가 캐릭터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릭터의 도상성 측면에서 보면 78.2%가 역동적인 형상, 57.8%가 가상적인 것보다는 현실성 있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캐릭터의 서사성 측면에서 보면 스토리의 원형을 본뜬 것은 산업연계성이 높고, 전혀 새로운 스토리의 옷을 창작하여 입힌 캐릭터는 산업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연구소재를 확장하며 캐릭터 관리와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향후 인과분석, 사례분석 등의 연구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s developed b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with which they attempt to express their local identities. Since South Korea experienced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t under pressure to promote their local identities as competition with the central and other local governments intensified. Among many ways to express organizational identities, characters are widely introduced to represent localities as almost 87% of local governments develop their own characters. In order to understand how local governments express and promote their localities with characters, we take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characters with a focus on two key aspects: iconicity to analyze how the character is visualized and narrativity to investigate what it would like to tell. First, as for the iconicity, approximately 78% of characters present dynamic images and more than 58% of characters are realistic rather than imaginary. Second, in terms of narrativity, it finds that the linkage between characters and local industries is more clear in local governments in provinces than those in metropolitan cities. In addition, most characters are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built on the original local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