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부성과와 정부신뢰 사이에 개인의 상태인 행복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과거 개인의 행복을 전통적으로 정부정책에 대한 결과변수로 여겼을 뿐 이것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변수로 보지 않았다. 그러나 성과인식과 신뢰형성이 개인의 주관적 인식의 결과라면 이를 판단하는 개인의 삶의 종합적 상태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신뢰 연구에서 주로 다뤄지지 않고 있던 개인의 주관적 행복이 정부성과와 정부신뢰 간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다고 가정하고 2012년 서울시 정책지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부성과와 정부신뢰 간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을수록 정부를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행복의 조절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This study argues that considering personal happiness can bridge a gap between distrust and high performance. Aim to proper explanation about tru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performance and government trust, we tackle the point that the citizen's performance evaluation to trust formation are passing through subjective perceptual lens.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survey (2013) of Open Data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government performance on the citizen's degree of public institution trust. Our empirical results indicate (1) that higher performance induces more trust. And (2) when include subjective wellbeing and unhappy experience as a moderator variable on the analysis, we confirm personal subjective condition effect on determining the degree of public institution trust Happier citizens trust government more but we can not confirm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moderators on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