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일제강점기 공업사와 관련한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의 그간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는 초창기 朝鮮史硏究會를 중심으로 활동한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본격적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연구가 본격화되는 것은 민족경제론과 사회구성체논쟁, 그리고 이를 토대로 1980년대말 촉발된 근대화논쟁이 계기였다. 관련하여 1987년부터 시작된 한일 공동연구조직인 한국근대경제사연구회가 1990년대 초까지 생산한 일련의 연구성과가 1990년대 공업사연구를 활성화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공업사연구의 본격화는 일제에 의한 식민지 공업화(경제개발)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조선인자본(가)의 존재 양태 및 성장, 쇠퇴의 문제 등과 관련한 주목되는 여러 편의 연구성과를 생산하였다. 경제학의 경제사연구자들의 연구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실증적 토대를 보다 튼튼히 하는데 기여하였고, 역사학계 경제사연구자들의 연구는 그에 대한 반격을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이후는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된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의 심화와 확산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자료의 출현과 디지털화 등으로 자료접근이 용이해진 점 등에 힘입은 것으로, 일제말 전시체제기 연구, 식민지에서 활동한 일본인 자본가에 대한 연구, 조선인자본가 연구의 외연확장, 산업사연구의 활성화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 심화되고 확산된 연구가 기존 일제강점기 공업사의 쟁점들에 어떻게 수렴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경제사 연구자의 인력풀이 갈수록 엷어지고 있다는 점 등은 개선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sults of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Research on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egan in earnest by researchers of Japan studies, who were active centering around the Joseon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the early days, but it was not truly earnest research. The studies became in earnest, with the theory of national economy, the debate over social formations debate and the dispute over modernization stirred in the late 1980s as a momentum. Regarding this, a series of research results produced till the early 1990s by the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Research Institute, a Korea-Japan joint research organization founded in 1987, served as a direct momentum for vitalizing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in the 1990s. Earnest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in the 1990s produced several noticeable research results concerning evaluations of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colonial industrialization (economic development)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aspects of existence, and the problems of the growth and decline of Joseon capital (or capitalists). Studies of researchers of economic history in the field of Economics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empirical founda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while studies of researchers of economic history in the circles of History sought a counter strike against them in earnest. In the 2000s,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ccelerated since the 1990s have been deepened and proliferated. This wa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access to data became easier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and digitization. Studies of the period of the war basis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capitalists who were active in the colony were conducted, studies of Joseon capitalists have expanded and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have been vitalized. However, the facts that there are almost no studies of how these in-depth and proliferating studies converge to the existing issu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at the pool of economic history researchers gradually decreases as time passes by are urgent issues to be re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