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11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장애아동 상담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총 70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 상담영역, 연구주제, 연구방법, 자료 분석방법 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통계처리는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7년을 기점으로 게재 편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연도별 연구참여자의 동향은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8.6%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감각장애를 한 연구는 7.2%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도별에 따른 상담영역별 동향은 시각적 매체를 이용한 상담(미술, 독서, 사이버, 만화치료)에 대한 연구가 38.6%로 가장 많은 편수를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음악치료, 놀이치료, 학교․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도별 동향은 사회적 상호작용(32.9%), 심리/인지(27.1%)의 순이었다. 다섯째, 연구방법에 따른 연도별 동향은 사례연구가 전체 연구의 78.6%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여섯째, 자료 분석방법별 연구동향은 사례분석방법이 72.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통계적 분석이 28.6%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상담을 하는데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counselling research for children withspecial needs in Korean through analysing journals published from 2002 to 2012. A total of 75artic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sability category that counselling subjects have,counselling area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research has increased since 2007. Second, the studyof counselling related to children who ha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or adevelopmental disability occupied 68.6% of the total research. Third, the large volumes of dataof counselling areas were an application of the visual media therapy. Fourth, the annual trends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s were social interaction and cognition in order. Fifth, casestudies occupy 78.6% of the whole study. Sixth, 72.9% of the whole study was used as a caseanalysi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on the basisof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