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정의(jP'v.mi)와 공의( )란 용어가 이사야서 56-59장에서 어떤 의미적 뉘앙스의 변화를 가지고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 그 신학적 함의를 논하는 것이다. 북미와 유럽에서 발생한 성경 신학 운동(1940-1960년)의 영향으로 단어의 어원적 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성경 해석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은 시대착오적인 오류를 낳았다. 따라서 성경 단어 연구에 있어서 통시적인 연구 보다는 공시적인 접근을 통하여 단어의 의미를 파악해야 하며, 특히 각 단어가 위치한 문맥적 상황을 잘고려하여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이사야 56-59장에서 정의(jP'v.m)i 와 공의( )는 본문 안에서 여러 가지 뉘앙스를 나타내며 발전되고 있다. 이사야 56:1-8에서 정의(jP'v.mi)와 공의( ) 은 안식일 준수로 나타나는 언약적 책임에 충실한 삶과 관련이 있으며 또한이러한 언약적 책임을 준수하는 자들에게 약속된 구원(yti['Wv)y>와 의 병치배열)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사야 56:9-57:21에서 나타난 란 용어는 문맥안에서 오히려 우상을 의지하고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악한 삶에 대한 신랄한 풍자이다(57:12). 이사야 58장에서 사용된 jP;Ûv.mi는 백성들이 외식적으로행하는 제의적 규례를 의미하고(2절) ^q,d>ci는 참금식을 실천하는 자들에게 약속된 구원을 의미한다(8절). 이사야 59장은 와 jP;Ûv.mi가 반복적으로 가장많이 사용되는 본문이다. 이 본문에서 jP;Ûv.mi는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신실한삶(8절), 하나님의 구원(9, 11, 14 - 와 함께, 15, 16, 17절)을 의미한다. 특히 는 구원(h['ÞWvy)> 이란 용어와 병치배열을 통하여 구원적인 뉘앙스를 주로 나타낸다. 즉 정의(jP'v.mi)와 공의( )란 용어는 하나님의 언약에 충실한삶, 인간의 실천적 행위를 의미할 때가 있고 또한 하나님의 구원을 표현할때가 있다. 이처럼 인간의 행위와 하나님의 구원에 관한 신학이 정의(jP;Ûv.mi)와공의( )란 용어의 의미 전개를 통하여 드러난다. 정의(jP;Ûv.m)i 와 공의( )란 용어는 이사야서를 전체적으로 읽는 데 기여할뿐 아니라 이 용어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적 뉘앙스의 변화를 통하여이사야서의 신학적 주제의 전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riations on the meaning of the terms justice(jP'v.mi) and righteousness(hq"åd"c.) in Isaiah 56-59 and discusses its theological implic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Biblical Theology Movement emerg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1940-1960), there wa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 by analysing its etymology. However, this method has resulted in anachronistic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word. Thus, synchronistic approach is preferred rather than diachronic one in deciphering the meaning of the word and the interpreter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context where the term occurs. The two terms justice(jP'v.mi) and righteousness(hq"åd"c) appear in Isaiah 56-59, expressing various nuances of the meaning within the text. In Isaiah 56:1-8, the meaning of justice(jP'v.mi) and righteousness(hq"åd"c) is related with the life of the covenant responsibility manifested in faithful keeping of the Sabbath and God’s promised salvation(the collocation of yti['Wv)y> and hq"åd"c). The term hq"åd"c in Isaiah 56:9-57:21 means the sarcasm of the wicked lifestyle of the people who are indulged in the idolatry and do not fear of the Lord(57:12). The term jP;Ûv.mi used in Isaiah 58 expresses the cultic regulations which the people practice hypocritically(v. 2) and ^q,d>ci denotes the promised salvation to those who practice the truefasting(v. 8). In Isaiah 59 jP;Ûv.mi expresses the faithful lifestyle which God requires(v. 8) and God’s salvation(vv. 9, 11, 14 - with hq"åd"c 15, 16, 17). Particularly, hq"åd"c. denotes the salvific nuance in collocation with the term salvation(h['ÞWvy>). The two terms jP'v.mi and hq"åd"c mean the faithful lifestyle to God’s covenant(the practical human behavior) and God’s salvation. The theology of God’s salvation and human responsibility is expres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the two terms. The two terms justice(jP'v.mi) and righteousness(hq"åd"c.) contribute to not only the holistic reading of Isaiah, but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y of Isaiah through the various nuances of the meaning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