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리꾀르가 제시하는 내러티브 정체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설교사역을 통해서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설교 모델을 개발하며 이로 인한 교회를 공동체로 세우는 설교 사역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오늘날 교회는 세상의 문화의 영향을 받아 세속화되고 그 결과로 주변화되었고, 그러한 영향 중 하나인 개인주의로 인해서 교회는 공동체적 성격을상실하였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해서 창조되었고 세워지기 때문에,설교의 첫 번째 목표는 교회를 세우는 사역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동체적성격을 상실한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의 공동체로 세우는 설교이론과 실천이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리꾀르에 의하면 정체성은 내러티브로 표현되고, 내러티브 정체성은 시간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시간적 측면에서 개인은 안정과 변화 사이의 긴장을 과거와 미래를 통해서 현재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또한 관계적 측면에서 개인은 자신의 이야기와 타인으로부터들려진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모델들은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는데, 특별히 “번역의 모델,” “교환의 모델,” “용서의모델”들을 통하여 공동체의 정체성이 확립된다. 이러한 모델들은 공동체를세우는 설교 사역에 중요한 함축점을 제공한다. 먼저,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대화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개인들의 집합체”로서 교회 안에서 개인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그런 소통의 방식은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인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서로의 정체성을 교환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세울 수 있는 공간과 자유가 마련된다. 둘째,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기억하는 행위와 그 기억의 나눔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기억하는 것은 해석의행위로서 과거에 하나님께서 그 백성들에게 행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또한미래에 행하실 것을 통해서 현재 자신들이 누구이며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기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기억하는 일은 공동체가 함께 공동으로 기억하는 일이 되어야 하며 또한 공동의 기억들을 즉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행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나눔을 통해서 개인들이 공동체 안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셋째,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용서의행위가 되어야 한다. 이 용서는 곧 자신의 정체성을 공동체 안에서 교정하는행위이다. 용서의 사역은 공동체 안에서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 의해서 재조정하는 일이며 또한 공동체로서 교회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즉 세상 속에 있지만 세상에 속하지 않는 긴장 속에서 바른 정체성을 형성해야 하는 행위이다. 세상과의 관계에서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은먼저 회중이 공동체 존재하는 일이며, 둘째, 세상 속에 종으로서 세상을 섬기는 것이며, 셋째, 세상 속에 그리스도의 증인으로 복음을 증거하는 일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omiletic theory for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of faith which based on Ricoeur’s theory of narrative identity and to help the preacher to build up the community of faith as the Body of Christ. Most contemporary churches have been secularized and, as a result,marginalized b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dividualism has influenced on the church and made it an aggregate of individuals. The purpose of preaching is primarily to be the formation of the church as the community because the Church is created and built up by the Word of God. According to Paul Ricoeur, identity is expressed by narrative. Narrative identity has temporal and relational dimension. In the temporal dimension, individual identity has tension between stability and change. This tension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through the present. In the relational dimension, personal identity is not only constructed by his/her stories from memory, but also for the stories he/she is being told. These models of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could be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Ricoeur proposes three models for the integration of identity and alterity-the model of translation, the model of exchange of memories and the model of forgiveness. These models provide some insights on a homiletic theory for the formation of thethe community because the style of communication in the Body of Christ is a dialogue. The dialogical communication makes the space and freedom among the individuals to communicate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Secondly, preaching is to be a remembering and sharing act. Remembering is a hermeneutic act that the individuals interpret their identities by the Story of God. Sharing is a co-remembering act that the individuals find their identities among the community. Thirdly, preaching is to be an act of forgiveness for the corporate identity. Forgiveness is a specific form of revision of the past, and through it, of our narrative identities. The revision of the identity is to be done in the community. The identity of the church is also revised in the tension between ‘in the world’ and ‘not of the world.’ As a result, the identity of the church is to be a community, servant and messenger. community. Firstly, preaching is to be a dialogue act in order to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