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나라 상황(context)을 서술하고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이 우리나라 뿐 아니라 각 사람을 바로 세우기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위한 과제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현재와 미래에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와 더불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사례들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가 남한과 북한의 대립 상태에서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는 시점에 복음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기독교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를논하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본다. 다문화사회라는 현상을 우리사회가 어떻게접근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자들이 풀어가야 할 과제로 삼았다.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활동과 가족중심, 활동,레저 산업발달, 향락적인 문화 양산, 생활의 세속화, 저출산으로 인한 아동인구의 감소 및 노인인구의 증가 등은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논의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상황 속에서 복음주의 기독교교육이 왜 필요한지를서술하고 교회교육의 구체적인 네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과제는 남한과 북한이 ‘끝나지 않은 전쟁’의 사회상황에 있고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독교통일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점차 변화하고 있기에 교회는 설교와 성경공부를 통하여 문화를 점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다문화적 삶의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더불어 사는 기독교적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가 주 5일 근무제와 인구 연령층의 변화로 인하여 주말 교회교육 및 세대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양 한다. 우리사회가 입시중심의 교육 상황에서 교회는 기독교적 학부모교육과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context of South Korea from the viewpoints of Christian educators and attempts to delineate the necessit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vangelical views.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of nowaday and future. This article includes current context of our society such as the growing numbers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escapes from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become a multi-cultural one. The number of foreigner who are from foreign countries are growing. Another current situation is the five-day work system per a week and the change of a age group in our society. The five-days of work system results in motivating leisure activities, family centered activities, development of leisure business. Furthermore, the birthrate is downing and the rate of the senior age group is increasing. The phenomenon also results in the stagnation of church education. Final current context of this article is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in the high schools. The four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our society are exploited. The first is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n refugees. The second is the practice of the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the weekend church education and inter-age education programs. Finally,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needs to be discussed from the Christian world view and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Christian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