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가 다룬 주제는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변화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 논저의 성과를 중심으로, 문법적 대우에 국한하여 통시적 변화 양상을 대우법 체계의 변화와 대우법 형태의 형성 과정으로 나누어 정리, 검토하였다. 대우법의 체계 변화는 ‘--’의 기능 변화와 청자높임법 체계의 다원화로 요약할 수 있다. ‘--’의 변화는 [화자<주체<객체]라는 상하 판단의 복합성이 [화자<객체]로 단순화한 후, 객체의 모호성이 청자로 정착되는 과정으로, 구조내적인 불안정성을 극복하여 효율적인 문법체계를 지향하는 변화의 하나였다. 청자높임법은 이원적 체계에서 다원적 체계로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17세기부터 사원적 체계가 정착되기 시작해, 19세기에 현대국어와 같은 이원적 계열의 사원적 체계가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청자높임법이 다른 대우법과 달리 다원적 체계로 변화한 데는 화용론적 상황이 직접 반영되기 쉬운 대우법이라는 자체 속성과 문말형식절단 현상에 의해 새로운 형태가 다수 출현해 형태론적으로 뒷받침되었다는 점이 작용했다. 본고에서는 청자높임법의 분화 양상을 화용론적으로 다양화된 대우 영역에 언어형식이 고정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언어적 대우등급이 정착되는 과정이라 이해하였다. 대우법 형태의 변화로는 청자높임법의 중간등급 형태의 출현과 ‘--’의 청자높임 합류에 따른 최상위등급의 재구조화가 주목된다. 중간 등급 형태의 출현에는 문말형식절단 현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현상은 정보량이 적은 잉여적 성분이 탈락하는 현상으로 후대로 갈수록 절단 부위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 현상에 의해 새로이 형성된 형태로는 15세기의 ‘-리, -니-’, 16세기 ‘’류, 명령법의 ‘-소’, 17세기의 ‘’류,18세기의 ‘오’류, 19세기의 ‘’류가 있다. 문말형식절단은 특정 영역의 문체적 현상에서 문법적 체계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이며 그 과정에서 기능의 조정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최상위등급의 재구조화는 ‘--’의 기능 변화와 합류, ‘--’의 약화 등 선어말어미 체계의 변화가 주요 원인이다. 설명법어미과 의문법어미는 대체로 [다>다>다/늬다>습니다]의 변화 과정을 밟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명령법어미와 청유법어미는 아직 명확한 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시’가 형성 과정에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change of the honorific system from Old-Korean to 19C-Korean. I considerated accounts from two angles of system changes and modification changes. Main changes of the honorific system are the functional change of prefinal-ending ‘--’ and the diversity of honorific-degrees in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The restrictions of ‘--’ are simplified from [object>agent>speaker] to [listener>speaker].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is diverged from 2-degrees system to 4-degrees system of 2-series. In 18th century 4-degrees system is established and in 19th century 4-degrees system of 2-series is fixed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banmal(반말)’. This change was caused by a distinctive property that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is sensitive to pragmatic conditions. Main changes of modification are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middle-degree and the restruction of the highest-degree. The rule of sentence-final forms dele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e of new forms. ‘-리, -니’(15C), ‘-소’(16C), ‘-’(17C), ‘-오/소’(18C) ‘’(19C) are made by this rule. The restruction of the highest-degree occurred because of the change of prefinal-ending system. the the functional change of ‘--’ and functional weakening of ‘--’ caused the process of [다>다>다/늬다>습니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change of the honorific system from Old-Korean to 19C-Korean. I considerated accounts from two angles of system changes and modification changes. Main changes of the honorific system are the functional change of prefinal-ending ‘--’ and the diversity of honorific-degrees in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The restrictions of ‘--’ are simplified from [object>agent>speaker] to [listener>speaker].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is diverged from 2-degrees system to 4-degrees system of 2-series. In 18th century 4-degrees system is established and in 19th century 4-degrees system of 2-series is fixed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banmal(반말)’. This change was caused by a distinctive property that the listener-honorific system is sensitive to pragmatic conditions. Main changes of modification are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middle-degree and the restruction of the highest-degree. The rule of sentence-final forms dele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e of new forms. ‘-리, -니’(15C), ‘-소’(16C), ‘-’(17C), ‘-오/소’(18C) ‘’(19C) are made by this rule. The restruction of the highest-degree occurred because of the change of prefinal-ending system. the the functional change of ‘--’ and functional weakening of ‘--’ caused the process of [다>다>다/늬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