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는 시제 언어로서, 과거-현재-미래의 3분 체계를 갖는다. 사태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요소로서 ‘-었-’(발화시 이전), ‘-느-’/Ø(발화시), ‘-겠-’/‘-을 것이-’(발화시 이후)가 존재하며 각각의 경우에 필수적/전형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어 있-’과 ‘-고 있1-’은 결과상, ‘-고 있2-’는 연속상을 나타낸다. 중세 한국어는 과거시제에서 완망상 대 비완망상의 상적 대립을 지니고 있었으며, 현대 한국어의 관형형에 이 체계가 남아 있다. 한국어의 양태 관련 요소들은 문법화의 진전도가 높지 않아, 꽉 짜인 서법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경우는 관형형·명사형 이외에는 별로 없다. 한국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하나의 문법요소가 시제, 상, 양태, 증거성, 의외성 중 둘 이상의 범주에 걸쳐서 복수의 의미 성분을 갖는 일이 흔히 있다.


Korean is a tensed language with the tertiary distinction past-present-future. A proper tense maker is used obligatorily or typically in locating the event denoted by the clause on the temporal axis. ‘-eo iss-’ and ‘-go iss1-’ are resultative aspect markers, and ‘-go iss2-’ is a continuous aspect marker. Middle Korean had a perfective-imperfective aspectual distinction in past tense, and this system persists in adnominal forms of verbs up until now. Modal elements in Korean show a relatively low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so that Korean has barely any grammatical category of mood, except in adnominal and nominal forms of verbs.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n, we can attest many cases in which a grammatical element has multiple semantic components belonging to more than one category among tense, aspect, modality, evidentiality and mirativity.